‘강도론’때 일전불사하던 모습과 대조적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예상했던 반응”이라며 애써 태연했다. “(박 전 대표의) 의견 개진 방법이나 표현이 조심스러운 것 아니냐. 세종시 (논란) 때 말했던 것과는 다르지 않으냐”고도 반문했다. 그러면서 “대통령을 직접 거명한 것은 없지 않으냐. 정책에 대한 자기 입장을 밝힌 것으로 생각한다”고 선을 그었다.
‘세종시 때 말했던 것’이란 소위 ‘강도 논란’을 말한다. 지난해 2월 이 대통령은 세종시 수정안(원안인 행정부처 이전 대신 교육과학 중심 경제도시 건설안)이 논란을 일으키자 “강도가 들어왔는데 집안 싸움하면 망한다”며 여권 내 분란을 꼬집었다. 그러자 박 전 대표는 “집안 사람이 강도로 돌변하면 어쩌느냐”고 되받으며 직격탄을 날렸다. 이 대통령을 사실상 ‘강도’로 지목한 것이다. 이동관 전 수석이 총대를 멨던 이유다. 청와대가 당시와는 달리 박 전 대표와 격렬한 대결 구도로 가기보다는 일단 톤 다운하겠다는 의도가 보인다. 박 전 대표가 이 대통령을 직접 거론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한 템포 쉬어갈 수 있는 여지가 있는 셈이다.

이에 따라 청와대는 박 전 대표의 유감표명 배경 파악과 향후 파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일단 이 대통령은 4월1일 기자회견을 통해 대국민 직접 설득에 나서면서 박 전 대표 발언에 대한 입장도 밝힐 전망이다. 정면돌파의 일환이다. 신공항 건설이 대선 공약이고 국정의 최종 책임은 대통령이 져야 한다는 차원에서다. 신공항 건설 공약이 백지화된 점에 대해 유감을 표명하고 국익을 위한 선택이었음을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
김청중 기자 c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