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새 국가건설 성취 이룩하길” 미국은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후계구도 공식화 움직임과 관련, 일단 북한 내 상황 전개를 지켜본 뒤 한국 등 주변국과의 협의를 거쳐 대응 방안을 모색하겠다는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유엔 총회 참석차 뉴욕에 머물고 있는 커트 캠벨 미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는 27일(현지시간) 브리핑 도중 북한 내 권력승계 움직임에 대한 질문을 받고 “미국은 북한 내 상황의 진전 과정을 신중하게 지켜보고 있다”면서 “북한에서 일어난 일의 의미를 평가하는 과정에서 아태 지역의 모든 파트너들과 협의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미 국무부는 28일 주미 한국대사관 측과 북한 후계구도 공식화 동향을 평가하기 위한 비공식 면담을 갖는다.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한국 담당 석좌인 빅터 차 조지타운대학 교수는 “북한 정권 붕괴와 같은 급변사태 상황이 아니라면 미국의 대북 정책은 북한의 새로운 체제하에서도 그대로 유지될 것”이라며 “미국은 북한이 의미있는 비핵화 조치를 취하기 전에는 대북제재를 완화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중국의 장위(姜瑜) 외교부 대변인은 28일 북한의 김정은 대장 임명과 관련해 “그것은 북한의 내부 사무”라고 밝혔다. 장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노동당 대표자회를 어떻게 평가하느냐”는 질문에 “당대표자회가 성공하고 북한 인민이 노동당의 영도하에 각 분야 국가 건설사업에서 부단히 새로운 성취를 이룩하기를 기원한다”고 말했다. 일본의 간 나오토(菅直人) 총리는 28일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3남인 정은을 대장으로 임명한 것과 관련, “북한의 내부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기자단에게 밝혔다. 마에하라 세이지(前原誠司) 외무상도 이날 기자회견에서 김 국방위원장이 김정은에게 대장 칭호를 부여한 것과 관련, “(후계와 관련) 명확한 의사표현의 하나임에 틀림없다”면서 “어떤 체제가 확립될지, 북한의 권력구조에 변화가 있을지 어떨지를 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핵, 미사일, 일본인 납치자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북한과의 국교정상화는 전제조건이 충족되지 않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워싱턴·베이징=조남규·주춘렬 특파원, 연합뉴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