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반 이상은 배우자한테 당해
경찰에 접수된 노인학대 신고가 4년 새 68%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학대 가해자 대다수는 가족이었다.
29일 더불어민주당 한병도 의원이 경찰청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노인학대 신고 건수는 2020년 9707건에서 2021년 1만1918건, 2022년 1만2965건, 2023년 1만4919건, 2024년 1만6308건으로 매년 증가했다. 올해도 8월 기준 1만2940건이 발생해 지난해 수치를 상회할 전망이다.

노인학대 검거 인원은 2020년 2336명에서 지난해 3466명으로 4년 새 48.4% 증가했다. 특히 노인학대 가해자의 95.5%는 가족인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기준 노인학대 가해자가 배우자인 경우는 1891명(54.6%)으로 가장 많았고 자녀(손자녀 포함)가 1419명(40.9%), 친척이 32명(0.9%), 시설종사자가 27명(0.8%) 순으로 집계됐다. 학대 유형으로는 신체적 학대가 전체의 76.0%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정서적 학대가 12.5%로 뒤를 이었다. 성 학대(0.4%), 방임(0.8%), 경제적 학대(0.2%) 등도 보고됐다. 노익학대 신고는 수도권에 집중됐다. 지난해 전체 신고 중 22.6%가 서울에서 발생했으며 경기남부(16.5%), 부산(10.4%), 경기북부(7.8%), 대구(5.9%), 인천(5.8%), 경북(4.8%) 순이었다.
한 의원은 “노인학대는 단순한 가족 문제가 아닌 사회적 문제”라며 “정부는 노인보호 전문 인력 확충, 조기 방지 시스템, 피해 노인 지원 확대 등 실효적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