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日 ‘AI 유권자’ 투표 결과, 20대서 가장 유사

입력 : 2025-09-29 19:44:40 수정 : 2025-09-29 21:44:14
도쿄=유태영 특파원 anarchyn@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성·나이·지역별 생성해 지지 정당 질문
1∼3위 일치… “청년 정보 공개 많기 때문”
“자민당은 일본인을 뒷전으로 미루고 있다는 생각밖에 안 듭니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구글 인공지능(AI)으로 만든 이시카와현 거주 20대 남성 ‘AI 유권자’는 7·20 참의원(상원) 선거 비례대표 투표에서 참정당을 찍은 이유를 이렇게 말했다. 인터넷에 공개된 각종 정보를 학습한 결과였다.

2024년 10월 일본 도쿄의 한 투표소 모습. EPA연합뉴스

닛케이는 연령·성·거주지역 등 인구 구성비를 고려해 1만 AI 유권자를 만든 뒤 참의원 선거 이틀 전 투표 의향을 물었더니, 20대에서 특히 실제와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다고 29일 보도했다. 20대 AI 유권자들의 선호 정당은 국민민주당(35.3%), 참정당(25.8%), 자민당(11.3%) 순이었으며, 이는 교도통신 출구조사의 득표율 상위 3개 정당(국민민주 26.9%, 참정 22.7%, 자민 10.3%) 순위와 일치했다. 신문은 “AI는 주로 인터넷상의 공개 정보를 학습하는데, 젊은층이 만들어낸 자료가 많은 점이 정확성으로 연결된 것으로 보인다”고 풀이했다.

이는 독립된 인격을 갖춘 AI가 모여 사는 가상공간이 미래 모습을 보여주는 실험장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일례로 지난해 미국 AI 스타트업이 AI 캐릭터 1000개를 온라인게임상에 모아두고 공동생활을 하게 했더니, 각자 직업을 갖고 사회를 형성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닛케이는 “조건을 변경해 시뮬레이션을 반복하면 정책 효과를 검증할 수도 있다”며 “다만 사생활 침해 위험성이 있으며, 심리 조작이나 여론 유도에 활용돼 민주주의의 기반을 훼손할 우려도 있다”고 짚었다.


오피니언

포토

수지 '매력적인 눈빛'
  • 수지 '매력적인 눈빛'
  • 아일릿 원희 '반가운 손인사'
  • 미야오 엘라 '시크한 손하트'
  • 박규영 '사랑스러운 볼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