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세 이상 고령자 전체 인구 20.3%
올 첫 20% 돌파… 2050년 40% 넘어
은퇴연령층 상대적 빈곤율도 39.8%
英 14.9%·佛 6.1% 비해 월등히 높아
월 평균 연금 69.5만 그쳐 ‘고단한 삶’
고용률 38.2%로 전년比 0.9%P 증가
51.3% “생활비 보탬 위해 근로 희망”

우리나라 66세 이상 은퇴연령층의 상대적 빈곤율이 40%에 육박하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올해 처음으로 전체 인구의 20%를 넘어섰으며 2050년에는 40% 이상이 될 전망이다.
29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5 고령자 통계’에 따르면 올해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전체 인구의 20.3%인 1051만4000명으로 파악됐다.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를 넘으면 초고령사회로 분류된다. 고령인구 비중은 올해 처음으로 전체 인구의 20%를 넘어서고, 2036년 30%, 2050년에는 40%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됐다. 생산연령인구(15~64세)에 대한 고령인구(65세 이상) 비중을 의미하는 노년부양비는 올해 29.3명에서 2050년에는 77.3명으로 급증한다.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가운데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노인들은 늘고 있다. 66세 이상 연령층 중 중위소득(전체 인구를 소득순으로 나열했을 때 중간에 위치하는 소득) 대비 50% 미만의 소득을 가진 비율을 의미하는 ‘은퇴연령층 상대적 빈곤율’은 2023년 기준 39.8%로 전년보다 0.1%포인트 늘었다.

상대적 빈곤율은 2016년 44.8%에서 2021년 39.3% 등 점진적으로 감소했지만 2022년 39.7%로 증가 전환한 뒤 2023년 40%에 육박하며 2년 연속 증가했다. 한국의 은퇴연령층 빈곤율(2022년 기준)은 영국(14.9%), 프랑스(6.1%), 캐나다(11.6%) 등 주요국은 물론 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았다.
시장소득 기준 상대적 빈곤율은 2020년 60.6%, 2021년 59.9%, 2022년 59.1%, 2023년 57.0%로 감소했다. 시장소득이 공적이전지출 등 정부 개입 이전의 소득을 나타내는 만큼 정부의 소득재분배 정책이 약화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분석도 제기된다.
통계청 관계자는 “2020년 전국민 코로나 지원금이 지급되면서 상대적 빈곤율이 크게 떨어졌고, 2021년과 2022년에도 일부 지원금이 지급되면서 상대적 빈곤율이 완화됐다”면서 “지원금 지급이 완료되면서 조정기를 거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65세 이상 고령자의 연금 수급률은 2023년 기준 90.9%에 달하지만, 월평균 연금 수급액은 69만5000원에 그쳤다.

상당수 고령층은 정년이 지난 이후에도 일을 하며 고단한 삶을 이어갔다. 지난해 기준 65세 이상 고령자의 고용률은 38.2%로 전년(37.3%)보다 0.9%포인트 증가했다. 고령자 고용률은 2015년 이후 9년 연속 증가세를 기록 중이다. 고령층은 주로 안정적이지 않은 일자리에 종사했다. 65세 이상 취업자의 직업별 비중(2024년 기준)은 단순노무종사자가 34.8%, 농림어업 숙련종사자가 21.8%에 달했다. 통계청은 “전체 취업자와 비교하면 단순노무종사자와 농림어업 숙련종사자의 비중이 높았다”고 밝혔다.
올해 기준 65~79세 고령자의 57.6%는 장래에도 일하기를 원했다. 이는 전년보다 0.4%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근로 희망 사유로는 ‘생활비 보탬’이 51.3%로 가장 많았고, ‘일하는 즐거움’이 38.1%로 뒤를 이었다.
2023년 기준 65세 이상 고령자가 인식하는 주관적 노인 연령은 71.6세로 나타났다. 65세 이상 고령자 79.1%가 노인을 70세 이상으로 생각했다. 65세 이상 고령자 중 84.1%는 무의미한 연명의료를 반대했다. 연명의료는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에게 심폐소생술 등 효과 없이 임종과정 등 기간만을 연장하는 것을 말한다.
지난해 65세 이상 고령자 중 자신의 현재 삶에 만족하고 있는 사람의 비중은 35.5%로 전년 대비 3.6%포인트 증가했지만, 전체 인구 평균(40.1%)보다는 낮았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