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가 12·3 비상계엄 당시 청사를 폐쇄, 출입을 통제하고 비상간부회의를 열었다는 일각의 의혹 제기에 대해 사실이 아니라고 반박했다.
강원도는 1일 입장문을 내고 “도는 계엄 이후 청사를 폐쇄한 사실이 없고 평소와 동일한 보안을 유지했음을 알려드린다”고 강조했다.

도는 이어 “청사는 평소에도 심야에는 무인경비시스템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출입증을 패용한 경우에만 출입을 허용한다”며 “또 지난해 12월 청사 폐쇄와 관련한 국회의원 요구자료 답변서를 통해 이 사실을 이미 명확하게 밝힌 바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도는 도민의 안전을 지키는 것이 최우선임을 잊지 않고 강원도 발전을 위해 진력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지난해 12월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박정현 의원은 강원도에 청사 폐쇄와 관련한 자료 제출을 요구했다.
박 의원은 당시 청사를 폐쇄하고 실·국장 회의를 실시했는지 여부 등을 질의했다. 도는 해당사항이 없다고 답변했다.
앞선 지난달 31일 열린 기자회견에서 민주당 3대 특검 종합대응특별위원회 전현희 총괄 위원장은 “오세훈 서울시장, 김진태 강원지사, 유정복 인천시장 등 광역지자체 다수가 계엄 당일 청사를 폐쇄하고, 비상간부회의를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며 “그러나 한 번도 이들에 대한 수사가 이뤄지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서울시는 입장문을 내고 “청사를 폐쇄하지 않았고 계엄에 동조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거듭 밝혔음에도 청사를 폐쇄했다는 가짜뉴스를 유포한 전 위원장은 허위사실 유포에 책임을 져야할 것”이라고 강하게 반발했다.
유정복 인천시장 역시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비상계엄과 관련해 청사를 폐쇄하며 출입을 통제한 적이 없다”며 “지방정부까지 근거 없이 탄압하려는 정치적 작업질을 멈추라”고 날을 세웠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