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재의 지구가 지난 1천200년간 지표면이 비정상적으로 따뜻해진 시기와 비교해도 가장 덥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스위스 연방 연구기관인 숲·눈·경관 연구소(WSL)가 3일 국제학술지인 네이처에 게재한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온실가스 배출 등으로 인해 온난화한 지구 온도가 중세 이후로 전례가 없을 정도로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진은 스칸디나비아반도와 핀란드, 스코틀랜드 등에 서식하는 소나무 188그루를 분석했는데, 이들 중 일부는 최대 1200년까지 생존해 있었다. 연구진은 나무의 나이테에 있는 세포 5천만개에서 세포벽 두께 등을 측정했다.
나무 나이테 세포에는 형성 당시의 온도를 가늠할 수 있는 정보가 담겨 있다. 연구진은 나이테 밀도 외에도 탄소 안정 동위원소 분석 등 다각적인 연구방법을 적용해 온도 변화 정보를 과학적으로 찾아내는 데 성공했다.
연구진은 이런 과정을 통해 추출한 나이테 온도 정보를 토대로 나무가 서식한 지역의 오늘날 기온이 지난 1천200년간의 자연적 온도 범위를 벗어났을 가능성이 있다고 결론 내렸다. 현재 기온이 이전 시기보다 큰 격차를 두고 높아졌다는 설명이다.
연구진은 나이테 속 온도 정보에 비춰 지구 온난화의 시기로 불리는 현재와 종종 비교되는 중세 온난기(MWP)에 지금보다 기온이 낮았다고 지적했다.
중세 온난기는 950년부터 1250년까지 유럽과 아메리카 일부 지역에서 평균 기온이 섭씨 2도 정도 높아진 기간을 지칭한다.
연구진은 보고서에서 "중세 온난기가 이전에 생각했던 만큼 따뜻하지 않았다는 증거가 이번 연구에 담겨 있다"며 "적어도 지난 1천여 년간 현재의 기온은 전례가 없었다"고 밝혔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