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경부는 한국전력의 5대 공공발전사에 대한 ‘통합환경허가’를 이달 중 완료한다고 6일 밝혔다.
통합환경허가는 대기·수질·폐기물 등 환경 매체별로 분산된 환경 인허가를 하나로 통합해, 사업장별 맞춤형 허가기준을 설정하는 제도다.
동서, 서부, 남동, 남부, 중부발전 등 한전 5대 발전사는 올해 말까지 통합환경허가를 받아야 하는 발전업종에 속해 있으며, 태안·당진·보령 등에 29개 발전소를 보유하고 있다. 이들 발전시설에서 나오는 대기오염물질은 전체 발전시설 배출량의 80% 이상을 차지한다.
환경부는 그간 사업장별로 지역사회에 미치는 환경영향과 기술수준 등을 고려해, 미세먼지 등 오염원별 최대한 저감할 수 있는 강화된 허가조건을 포함한 통합허가 검토를 진행했다.
5대 발전사는 통합환경허가를 이행하기 위해 2025년까지 총 4조6000억원을 환경 설비 개선에 투자할 계획이다.
우선 발전소 가동 시 배출되는 질소산화물과 황산화물 등 대기오염물질을 저감하기 위한 대기오염 방지시설 개선에 전체 예산의 70%인 3조2000억원을 투자한다. 그간 야외서 보관하던 석탄 보관장을 옥내화해 날림먼지를 저감하는 데에는 1조3000억원을 들인다.
당국은 이 같은 투자를 통해 연간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을 지난해 배출량(16만3000t)의 45%(7만4000t) 저감된 8만9000t까지 낮출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남혜정 기자 hjnam@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