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도 제자를 성추행한 혐의로 징계위원회에 넘겨진 서울대학교 서어서문학과 A 교수 사건에 대한 철저한 조사 및 교수 파면을 요구하는 ‘서울대 A교수 사건 해결을 위한 특별위원회’가 시민사회 단체와 함께 공동대책위원회를 꾸렸다.
‘서울대 A교수 사건 해결을 위한 시민사회 및 학생단체 공동대책위원회’(공대위)는 10일 오전 서울대 행정관 앞에서 출범 기자회견을 열었다.
공대위에는 고려대학교 여성주의 교지 석순과 전국대학생노동조합, 노동당 서울시당 관악구당원협의회 등 대학 총학생회와 정당 단체를 포함해 총 15개 단체가 참여했다.
황강한 공대위 공동집행위원장은 “서울대 서어서문과 A교수 사건은 서울대만의 문제가 아니라 교수와 학생 사이의 비대칭적인 권력 관계가 있는 한국 대학의 공통된 문제”라며 “A교수 파면을 요구하는 서울대 학생들을 지지하고 관련 법 개정을 위해 연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사회변혁노동자당 학생위원회 김신우 서울대분회장은 “A교수 사건은 우리 사회에서 발생하는 권력형 성폭행 사건의 전형”이라며 “특히 대학의 권력형성폭력은 교수들에 의해 용인되고 있다. A교수 사건도 2000명 학생들이 연서명을 통해 요구하고 단식 통해 요구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본부는 침묵하는 등 학생들의 요구 무시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사회변혁노동자당의 고근형 학생위원장은 “공대위의 활동방향은 두가지다. 첫째로 A교수를 반드시 징계하도록 만들고, 두번째로는 교원징계위에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전국대학관련제도를 바꾸는 것이 필요하다. 학생이 징계위원회에 참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조치”라고 강조했다.
이들은 “시민사회가 요구한다 A교수를 파면하라”, “징계위 학생참여 서울대는 책임져라”, “가해교수 카르텔 우리가 끝장내자” 등의 구호를 외쳤다.

기자회견을 마친 뒤 공대위에서 서울대 측에 책임있는 대응을 촉구하고자 마련한 공문을 전달하려고 했으나 본부가 현관문을 열어주지 않아 교무처까지 들어가지 못했다. 대신 교무처 관계자가 현관으로 나와 학생들에게 공문을 전달받았다. 공대위 측은 공문 전달 경과를 오는 15일에 발표하기로 했다. 공대위는 A교수 파면을 촉구하고 대학에 책임 있는 답변을 요구하는 온라인 서명운동을 벌이고 있다.
앞서 A교수는 2017년 외국의 한 호텔에서 대학원생 지도 제자의 허벅지를 만지는 등 학생을 성추행한 의혹으로 신고돼 인권센터에서 중징계 권고를 받고 징계위원회에 회부됐다.
인문대 학생회장 등 서울대 학생 대표자들은 A교수의 파면을 요구하며 총 26일간 단식을 벌이기도 했다. 학생들은 오늘 27일 전체학생총회를 열고 행동방안을 결정할 예정이다.
남혜정·곽은산 기자 hjnam@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