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별 장기 어떻게 다르나 / 中 샹치, 왕말에 초·한 아닌 장·수 표기 / 장기판 한가운데 ‘장강’ 가장 큰 차이점 / 日 쇼시, 기물 40개로 韓보다 8개 많아 / 서양 ‘체스’처럼 기물 점 아닌 칸에 놓아 한·중·일 장기는 세 나라 문화가 그렇듯 얼핏 비슷해 보이면서도 곳곳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모두 기원전 6세기경 인도에서 만든 장기인 ‘차투랑가’에 기원을 두고 있지만 오랜 시간이 흐르면서 각 나라별 특색이 반영됐다는 평가다.
 |
한국의 장기 온라인 커뮤니티 |
우선 중국 장기 ‘샹치’는 우리나라 장기와 외견이 매우 흡사하다. 우리와 마찬가지로 총 32개 기물이 사용되며 포진법이 거의 비슷하다. 가장 큰 차이는 장기판 한가운데 ‘장강’이 있다는 점과 ‘포(砲)’가 상대방 포를 먹을 수 있다는 점이다. ‘상(象)’은 장강을 건너지 못해 상대방 진영으로 진출이 불가능하며 ‘졸(卒)’과 ‘병(兵)’은 장강을 건너야 비로소 좌우로 움직일 수 있다.
상치의 포는 상대방 기물을 먹을 때만 다른 기물을 뛰어넘을 수 있다. 샹치 대국시간이 평균 10분 이내로 비교적 빠른 것은 포를 수비용으로 쓰기 어려워서다. ‘마(馬)’와 상의 배치를 원하는 대로 놓아 ‘원앙마’와 ‘귀마’, ‘양귀마’ 등 다양한 포진이 가능한 우리나라 장기와 달리 샹치는 무조건 ‘마상상마’ 배치만 쓴다. 왕(王)말에 쓰인 한자가 ‘초·한(楚·漢)’이 아닌 ‘장·수(將·帥)’인 점도 다르다. 차례를 넘길 수 없으며 수가 막힌 쪽이 패배한다.
 |
중국 장기 ‘샹치’는 장기판 가운데 장강이 있다. |
일본 장기 ‘쇼기’는 여러 면에서 차이가 크다. 일단 기물이 40개로 우리나라 장기보다 8개가 더 많다. 서양 장기 ‘체스’처럼 장기판에 궁성이 없고 기물을 점에 놓지 않고 칸에 놓는다. 쇼기의 왕말인 ‘옥장(玉將)’과 ‘왕장(王將)’도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다.
 |
일본 장기 ‘쇼기’는 점이 아닌 칸에 장기말을 둔다는 점에서 우리나라 장기와 차이가 있다. |
장기의 ‘차(車)’와 쓰임이 같은 ‘비차(飛車)’, 체스의 ‘비숍’처럼 대각선으로 이동이 가능한 ‘각행(角行)’, 여섯 방향으로 한 칸씩 움직이는 ‘금장(金將)’, 다섯 방향으로 한 칸씩 움직이는 ‘은장(銀將)’ 등 기물이 있다. 마와 같은 움직임을 보이는 ‘계마(桂馬)’도 있으나 체스처럼 다른 말을 뛰어넘을 수 있고 오로지 적진 방향으로만 움직일 수 있다. 좌우 이동이 불가능한 ‘향차(香車)’도 전진만 가능하다.
쇼기는 또 왕장과 금장 이외의 말이 적진에 들어갔을 때 행마법이 달라지는 ‘승격’시스템이 있다. 비차가 승격해 ‘용왕(竜王)’이 되면 대각선으로 한 칸씩 더 이동이 가능해지는 식이다. 본래 말을 뒤집으면 승격된 말이 나온다. 승격이 무조건은 아니지만 일단 승격하면 되돌릴 수 없다. 상대방의 말을 잡으면 자신이 사용할 수 있는 점도 우리나라 장기와 다른 부분이다.
이창수 기자 winteroc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