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말 현재 정 부회장 명의의 삼성전자주식은 24만5천주로 지난해 6월 말 기준 29만3천500보다 4만8천500주 감소했다.
매도 시점은 정확히 드러나지 않지만, 지난해 하반기에 4만8천500주를 매각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정 부회장이 가진 삼성전자 전체 주식의 16.5%로, 지난해 하반기 삼성전자 평균주가(주당 124만2천원)를 기준으로 하면 약 602억4천만원 규모다.
정 부회장은 삼성전자 최대주주 특수관계인에 해당하지 않지만, 삼성전자는 투자자의 이해를 돕는 차원에서 가장 최근 주주명부폐쇄일을 기준으로 그의 지분 변동 내역을 공개하고 있다.
앞서 지난해 12월 부산의 한 행사장에서도 정 부회장은 삼성전자 지분 취득에 대한 기자들의 질문에 "(삼성전자 지분을) 팔 것"이라고 답한 바 있다.
재계와 증권가에서는 사실상 경영권을 물려받은 정 부회장이 지분까지 승계하기 위한 자금을 확보하고자 주식을 매각한 것이 아니냐고 추정하고 있다.
정 부회장의 어머니인 이명희 신세계그룹 회장은 신세계와 이마트 주식을 각각 17.3%씩 보유하고 있다.
신세계와 이마트 지분을 각각 7.32%씩 소유한 정 부회장이 이 회장의 지분을 물려받으면 수천억 원의 증여세를 내야 한다.
이와 별개로 신세계의 면세점 사업 확장을 앞두고 정 부회장이 삼성과 껄끄러운 관계가 되는 것을 미리 방지하고자 지분을 매각했을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다.
신세계가 별도법인을 꾸리고 면세점 사업에 공격적으로 뛰어들면서 당장 다음 달 서울 시내면세점 사업권 입찰을 두고 삼성 계열사인 호텔신라와의 경쟁이 불가피해졌기 때문이다.
신세계그룹 관계자는 "정 부회장이 신세계 계열사가 아닌 다른 회사의 지분을 판 것이고, 개인 재산을 처분한 것에 해당하므로 이에 대해 특별히 아는 것이 없다"고 설명했다.
<연합>연합>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