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현지 시간)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회(위원장 남경필)의 주미 한국대사관 국정감사장에서다.
한 대사가 한나라당 이윤성 의원의 외교부 특채 파문 관련 질의에 “가슴아프게 생각하지만 특채 외교관 전부를 도매금으로 비판해선 안된다”고 언급한 것이 발단이 됐다. 이 의원이 “유명환 외교장관 특채 파문 와중에 주미 대사관이 중요한 부서로 등장하는데 대사의 견해는 무엇이냐”고 묻자, 한 대사가 “논의되는 사람 중 주미 대사관에 근무중인 외교관은 적절한 시험절차를 거쳐서 선발된 이후 누구보다 열심히 일하고 실력도 출중하다”면서 ‘도매금’ 발언을 했다. 그러자 이 의원은 “도매금으로 넘어간다는 한 대사가 지적이 맞으나 국내 정서와는 동떨어지는 언급”이라면서 “감사 결과 (특채 과정에서) 온갖 비리유형이 전부 동원돼 ‘비리 백화점’, ‘맞춤 비리’ 유행어까지 나올 정도로 국민이 분노하고 있으며 그 중심에 주미 대사관이 있다”고 목청을 높였다.
같은 당의 김효재 의원은 “재첩국에 상한 조개 2개만 들어가도 못 먹는다”면서 “열심히 일한 사람(특채 외교관) 사기를 위해서라도 비정상적, 비합법적, 불공정 사례는 외교부 스스로 도려내야 한다”고 지적했다. 민주당의 신낙균 의원도 “대사가 억울한 사람이 있는 것에 대해 더 많은 설명을 한 것은 고위직으로서 국민에게 바람직한 자세가 아니다”면서 “용서를 빌어야지 변명하는 것은 적절한 답변이 아니다”고 거들었다. 남경필 위원장은 “워싱턴에서는 특권층의 반칙 행위에 분개하는 국민적 열망을 느끼지 못할 수 있으니 국내에 들어오면 지하철로 출근해보길 권한다. 얼마나 시민들의 질서 의식이 높아졌고 특권의식이 없는 지 알 수 있을 것”이라고 충고했다.
의원들은 주미 대사관 보고에 북한의 3대 세습 문제가 누락된 데 대해서도 강하게 질타했다. 한 대사가 “김정일 셋째 아들 세습 절차가 진행 중이나 국제사회는 아직 관망 상태”라고 하자, 이윤성 의원은 “서울이 관심을 갖고 있으면 워싱턴도 관심을 가져야한다”면서 “미국인들의 사고로 생각하지 말라”고 했다.
워싱턴=조남규 특파원 coolma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