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4일 재개발예정지역 다세대주택에 살던 여중생 이유리(13)양 실종사건과 관련, 부산시가 폐·공가가 밀집된 재개발지역에 대한 주거안정 및 슬럼화 예방대책 마련에 들어갔다.
부산시는 최근 들어 계속된 경기침체로 재개발·재건축이 추진되다 중단된 지역이 급속히 늘어나 슬럼화되고 범죄 사각지대에 놓이게 됨에 따라 이들 지역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키로 했다고 4일 밝혔다.
부산시에 따르면 정비사업현황은 재개발 239곳과 재건축 85곳 등 모두 324구역이며 이중 관리처분계획(주민 이주 진행) 중인 20개 구역(재개발 18, 재건축 2)에서 폐·공가 발생률이 90%로 나타났고, 사업시행 인가구역인 42개 구역(재개발 39, 재건축 3)에서 폐·공가 발생률이 10%로 조사됐다.
시는 지난 2008년부터 매년 재개발사업 부진으로 흉물스럽게 장기 방치되고 있는 폐·공가 철거비용을 지원함으로써 건물 붕괴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범죄 장소로 악용되지 않도록 조치를 취하고 있다.
시는 정비구역 내 폐·공가 철거를 위해 2008년 3억2000만원을 지원해 36동을 정비한 데 이어 지난해 50억원으로 지원비용을 대폭 늘여 439동을 정비했다.
시는 올해 30억원을 들여 305동을 철거할 계획이며, 내년엔 예산을 대폭 늘릴 계획이다.
시는 이와 함께 부산시내 16개 자치구·군과 경찰 지구대, 사업시행 조합·시공사와 공동으로 합동순찰반 등을 편성, 순찰·예찰활동을 강화하기로 했다.
중점 순찰구역은 폐·공가율이 높은 관리처분 계획인가구역 13개소와 사업시행인가구역 42개소이며, 사건사고 발생률이 높은 심야 시간대 방범 순찰을 강화하게 된다.
시는 또 정비구역 내 슬럼화 및 안전사각지역을 선정, 방범용 CC(폐쇄회로) TV를 설치키로 하고 설치대상지역 선정에 들어갔다.
부산시의 한 관계자는 “이유리 양 실종사건을 계기로 재개발예정지역 안전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다음주쯤 16개 구·군 건축과장과 재개발조합장, 시공사 관계자 등이 망라된 폐·공가 정비관련 대책회의를 개최해 효율적인 방안을 확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부산= 전상후 기자 sanghu60@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