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한·미 “中·러를 움직여라”

입력 : 2012-12-06 22:08:42 수정 : 2012-12-06 22:08:42

인쇄 메일 url 공유 - +

北제재 위해 외교노력 집중
왕자루이 中 대외부장 방미
북한이 국제사회 여론을 무시한 채 장거리 미사일을 발사할 경우 최대 관심은 중국과 러시아가 북한 제재에 동참할지 여부다. 한·미 양국은 중·러를 상대로 발사 저지와 관련해 외교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중·러도 과거처럼 북한을 마냥 감싸고 나설 수만도 없는 환경이다.

방미 중인 임성남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5일(현지시간) 워싱턴특파원과의 간담회에서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하지 않는 게 최상의 결과이며 이를 위해 외교적 노력을 끝까지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외교적 노력을 언급하면서 “중·러가 ‘대북 활동 노력’에 동참토록 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성환 외교통상부 장관도 국회 외교통상통일위 전체회의에서 “미사일 발사 시 대북 제재 방안을 미국뿐만 아니라 중국과도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최근 주한 미·일·중·러 대사를 잇달아 만나 협조를 구하는 한편 주중, 주러시아 대사를 경유해 의견을 전달하고 있다. 임 본부장은 중국 우다웨이(武大偉) 한반도사무특별대표를 만난 데 이어 워싱턴에서 한·미·일 약식협의를 마련했다. 러시아 이고리 마르굴로프 아·태담당 차관은 내주 방한한다.

이런 가운데 왕자루이(王家瑞) 중국 공산당 대외연락부장이 미국 정당 초청을 받아 공산당 대표단을 이끌고 5일부터 미국을 방문 중인 것으로 확인돼 주목된다. 왕 부장은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생전에 총애했던 인물로 북·중 최고위층 사이의 메신저 역할을 했다. 이 때문에 미·중 간 미사일 논의가 이뤄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중국 외교부 훙레이 대변인은 6일 북한의 ‘신중한 행동’을 거듭 촉구했다.

지난 4월 북한 미사일 발사 직후 채택된 안보리 의장성명은 중국과 러시아에 압박이 되고 있다. 당시 성명은 ‘북한이 추가 발사 또는 핵실험을 할 경우 상응하는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돼 있다. 중·러가 안보리 상임이사국으로서 책임을 외면하기에는 부담이 크다.

마크 토너 국무부 부대변인은 “북한이 전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제재를 받고 있는 게 사실이지만 (제재) 이행을 강화할 방법은 항상 있다”고 말했다.

워싱턴=박희준 특파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엄정화 '반가운 인사'
  • 엄정화 '반가운 인사'
  • 이엘 '완벽한 미모'
  • 조여정 ‘아름다운 미소’
  • 전소미 '깜찍한 볼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