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 대표는 17일 임태희 전 대통령실장, 김문수 경기지사와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각각 회동했고, 전날에는 이재오 의원과 만났다. 이 자리에서 황 대표는 현행 당헌·당규에 따라 경선을 준비해야 하는 입장을 설명하고 각 주자들이 먼저 예비 후보로 등록해 줄 것을 요청했다. 하지만 비박 주자들은 현행 경선 룰의 문제점과 지도부의 불공정성, 완전국민경선제 도입을 위한 선거법 개정 추진을 요구했다.
![]() |
새누리당 황우여 대표(오른쪽)와 김문수 경기도지사가 17일 여의도 당사 대표실에서 당 대선후보 경선 룰을 논의하기에 앞서 손을 맞잡고 환하게 웃고 있다. 연합뉴스 |
비박 주자들은 황 대표를 신뢰하지 않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정몽준 의원은 “당 대표의 공정성에 의구심이 간다”며 황 대표의 18일 회동 제안을 거부했다. 김 지사는 “박 전 위원장이 수평적 후보로 위치해야 하고 (후보들과의 만남을) 먼저 제안하는 것이 가장 원만하다”고 압박했다. ‘최고위 산하 경선 논의기구’에 대해서도 부정적이다. 김 지사 측 신지호 전 의원은 “결정은 (친박계가 장악한) 최고위가 하겠다는 것 아니냐. 이런 형태라면 참가하지 않겠다”고 못박았다. 하지만 비박 진영에서도 “일단 설치되면 판을 이끌 수 있다. 논의기구의 의견이 존중되면 형식에 얽매일 필요가 없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임 전 실장은 이날 “50만명으로 확대한 대의원과 당원을 대상으로 권역별 순회 투·개표 방식을 통해 1·2위를 뽑아 결선투표를 치르자”고 제안했다. 결선 투표는 대의원, 당원, 국민선거인단, 여론조사를 현행 룰대로 2:3:3:2로 반영하는 방식을 제시했다. 친박계는 “참여폭을 넓히는 것은 논의할 수 있다”는 반응을 보였다.
강구열·박세준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