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광 등 6개 시·군 7개사업 선정
시간당 523㎿h 저장·공급 가능
일평균 소비기준 45만가구 공급
전남도가 1조5000억원에 달하는 정부의 에너지저장장치(ESS) 전체 입찰 물량을 확보하며 에너지산업 중심도시로의 입지를 재확인했다.
전남도는 재생에너지 출력제어 해소를 목표로 한전 전력망에 민간이 구축하는 ESS 사업인 2025년 제1차 ESS 정부 입찰 전국 5개 시·도 공모에서 전체 입찰 물량을 확보했다고 7일 밝혔다. 낙찰사업자는 한전 변전소에 연결하는 ESS를 구축해 전력거래소의 요청이 있을 경우 한전 전력망에 부담을 주는 재생에너지 잉여전력을 ESS에 저장했다가 전력수요가 높은 시간에 공급하게 된다.
그동안 전남도는 ESS 정부입찰 시장 전남 도입 확대를 지속적으로 건의해 왔다. 그 결과 2025년 전력수급기본계획에 정부가 ESS를 호남권에 우선 도입하겠다는 내용을 명시적으로 반영하면서 이번 입찰이 후속 조치로 이어졌다.
영광·무안·진도·고흥·광양·신안 6개 시·군에 7개 사업이 선정됐다. 전남이 확보한 낙찰 물량은 총 523㎿ 규모로, 1시간에 523㎿h의 전력량을 ESS에 저장 또는 공급할 수 있는 설비용량이다. 사업비는 1조5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입찰 조건에 따라 6시간 동안 저장 또는 공급이 가능해야 하며, 이에 따른 ESS의 저장장치(배터리) 규모는 3138㎿h다. 이는 전남 가구당 일평균 전력소비량(7㎾h)을 기준으로 약 45만가구가 하루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전력량이다.
이번 입찰 확보로 전남의 재생에너지 출력제어를 완화하는 측면에서 가시적인 효과가 기대된다. 또 ESS 제조 및 건설 분야의 9300여개 고용 창출과 도내 재생에너지 설비제작 및 시공 업체 등의 매출 증가가 기대된다.
전남도는 정부의 전남 RE100 산업단지와 차세대 전력망 혁신기지 조성과 연계해 지역 내 ESS 산업기반을 체계적으로 구축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