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거리서 일터로… 서울시, 노숙인 자립 돕는다

입력 : 2025-05-21 06:00:00 수정 : 2025-05-21 00:17:56

인쇄 메일 url 공유 - +

市, 2025년 ‘공공일자리’ 1860개 마련
신용회복·생애설계 컨설팅 제공
민간 부문 진입 목표 단계적 지원
6월부터 서울역 등 찾아 상담도

#1. “이건 그냥 일자리가 아니라 사람을 살리는 일자리입니다.” 서울시 노숙인 공공일자리 사업을 통해 서울 동부병원 응급실 보조로 일하는 강모(65)씨는 이같이 말했다. 그는 사업에 실패하며 빚을 지게 되고 채권추심에 시달렸다. 가족과도 연락이 끊겨 거리를 떠돌며 노숙했다. 그러던 중 영등포 보현종합지원센터를 통해 임시주거지와 일자리를 소개받고, 지난해부터 일도 하게 됐다. 강씨는 자신과 같은 고령의 실직 노숙인을 따뜻하게 품어준 사회에 감사함을 느껴 3년째 영등포 보현종합지원센터에 정기후원을 이어가고 있다.

#2. “제가 선생님 소리를 듣습니다. 사업이 망하면서 다시는 사장님, 선생님이라는 호칭은 못 들을 줄 알았어요.” 서울 동부병원 입원 병동에서 일하는 윤모(57)씨는 플랫폼배달업체를 운영하다 빚을 져 노숙인으로 전락했다. 방황하던 그의 손을 잡아준 것은 시립 24시간 게스트하우스 자활시설이다. 이발사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도록 독려하였으며 독립을 꿈꾼 그에게 공공일자리를 연계해줬다. 윤씨는 현재 3교대로 일하면서 받게 된 야간수당을 저축하며 다른 요양병원에서 미용 봉사도 겸하고 있다.

서울시가 ‘서울형 노숙인 공공일자리’ 사업을 이어가 올해 1860개 일자리를 지원한다. 시는 신용회복·직무역량 강화, 생애설계 컨설팅 등을 통해 노숙인 자활·자립의 토대를 놓는다. 시설 입소자, 쪽방주민, 비적정 주거시설 거주자 등 근로 의지가 있는 대상자를 발굴하고 사업장에서 추천받은 노숙인은 시간·전일제로 일할 수 있도록 전환을 돕는다. 다음달부터는 서울역, 영등포역 일대를 중심으로 ‘찾아가는 일자리 이동상담 서비스’도 운영한다.

20일 서울시에 따르면 서울형 노숙인 공공일자리는 초기에 일하는 습관과 의지 형성을 돕는 공동작업장에서 시작해 다음 단계인 공공일자리 시간제에서 전일제로, 최종적으로는 민간 일자리로의 진입을 목표로 단계적으로 지원된다.

근로 역량이 부족하거나, 장시간 근로가 어려운 노숙인의 현실을 고려한 저강도 부업형 일자리인 공동작업장에서 쇼핑백 접기, 장난감 조립 등 하루 4시간 내외 자율적으로 참여를 독려한다. 장기간 거리생활로 형성된 무규칙 생활 습관을 점진적으로 개선하고, 사회적 거리감·심리적 불안 등 어려움을 가진 대상자도 무리 없는 진입 단계를 마련하는 일자리다.

시간제 공공일자리로 넘어가면 하루 5시간씩 환경 정비·급식 보조 등 근로능력을 높이고 기초생계를 지원하기 위한 업무를 하게 된다. 단기 부업 형태인 1단계(공동작업장) 이후 사회적 일자리로의 전환 역할을 수행하는 단계다. 근로습관과 능력이 형성되면 하루 8시간 전일제 공공일자리에서 시설관리, 행정 보조 등으로 일한다. 근로능력이 있는 노숙인에게 안정적 일자리를 제공함으로써 민간 일자리 진입 전 근로습관 유지 및 직업생활 적응을 지원한다.

시에 따르면 지난해 노숙인 일자리 지원을 통해 1881명이 공공 및 민간 일자리 경력을 쌓았고, 이 중 887명(47.2%)은 민간 일자리 취업에 성공했다. 이들 중 91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85%가 ‘공공일자리 사업이 사회생활을 위한 대인관계 향상에 도움됐다’고 답했다.


조성민 기자 josungmi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아이들 슈화 '깜찍한 볼하트'
  • 아이들 슈화 '깜찍한 볼하트'
  • 아이들 미연 '깜찍한 볼하트'
  • 이민정 '반가운 손인사'
  • 이즈나 정세비 '빛나는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