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고용한파에 2024년 취업자수 증가 ‘반토막’… 20대 청년 ‘찬바람’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5-01-15 10:15:49 수정 : 2025-01-15 10:15:48

인쇄 메일 url 공유 - +

지난해 일자리 증가폭이 1년 전에 비해 ‘반토막’ 수준에 그쳤다. 20대 청년층 취업자가 10만명 이상 마이너스를 기록하면서 ‘고용한파’를 보였다. 특히 지난해 12월 취업자수는 뒷걸음질 쳤다. 취업자수가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은 3년10개월만이다. 비상계엄 선포 이후 정치적 혼란이 일자리에 직격탄을 미쳤다는 평가다.

 

15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12월 및 연간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연간 취업자 수는 2857만6000명으로 1년 전보다 15만9000명(0.6%) 늘었다. 이는 

 

서울의 한 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 시민이 일자리정보 게시판을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코로나19 사태로 연간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했던 2020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의 증가폭이다.

 

연간 취업자 수는 2019년 30만1000명 늘었다가 2020년에 21만8000명 감소했으나 이듬해 다시 반등해 36만9000명 증가했다. 이후 2022년 81만6000명, 2023년 32만7000명 늘었다가 지난해에는 15만명대로 반토막이 났다.

 

산업별로는 건설업 취업자 수가 4만9000명 줄었다. 2013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감소 폭이 가장 크다. 도매 및 소매업(-6만1000명)과 제조업(-6000명) 등 주요 산업도 취업자 수가 감소했다. 반면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8만3000명), 정보통신업(7만2000명),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6만5000명) 등 산업은 취업자 수가 증가했다.

 

연령별로는 60세 이상에서 26만6000명, 30대에서 9만명, 50대에서 2만8000명 각각 취업자가 늘었다. 반면 20대는 12만4000명, 40대는 8만1000명 취업자가 줄었다. 

 

특히 ‘연말 고용한파’가 연간 통계에도 영향을 미쳤다. 지난해 12월 취업자 수는 2804만1000명으로 5만2000명 줄었다. 코로나19가 한창이던 2021년 2월 47만3000명 줄어든 이후 3년10개월 만의 마이너스다. 건설업(-15만7000명), 제조업(-9만7000명), 도매 및 소매업(-9만6000명) 등에서 취업자가 감소했다. 연령별로는 20대에서 19만4000명, 40대에서 9만7000명 각각 감소했다.

 

서운주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건설업, 제조업, 도소매업 등 산업군에서 취업자 감소 폭이 확대되면서 취업자가 전반적으로 감소 전환했다”고 설명했다.


세종=안용성 기자 ysah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전지현 '눈부신 등장'
  • 전지현 '눈부신 등장'
  • 츄 '상큼 하트'
  • 강지영 '우아한 미소'
  • 이나영 ‘수줍은 볼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