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년 뒤 60세 이상이 33% 차지
노동력 감소로 경제도 둔화” 전망
2035년이 되면 중국 인구가 14억명 밑으로 떨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4일 영국 이코노미스트에 따르면 이코노미스트 산하 싱크탱크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EIU)은 보고서에서 출산율 감소와 고령자의 사망을 주요인으로 꼽으며 이 같은 예측치를 제시했다.

앞서 중국 국가통계국은 신생아 수가 2년 연속 1000만명을 밑돌아 총인구가 지난해 말 기준 14억967만명으로 전년 대비 208만명 줄었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중국 정부는 출산 장려 정책을 시행 중이지만 효과는 제한적일 것으로 보인다. 다수 조사에서 결혼한 부부가 아이를 덜 낳는 이유로 높은 경제적 비용을 꼽은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중국은 2013년과 2015년 산아 제한 정책을 연이어 완화했지만 둘째 아이 이후의 출산율은 정체됐다.
2035년까지 중국의 60세 이상 인구는 4억5000만명 이상으로 전체의 32.7%를 차지할 것으로 추산됐다. 65세 이상도 25.1%에 달할 전망이다. 이처럼 노인 인구의 비율이 늘어나면 국가에 재정적 부담으로 작용하지만 의료·보건 등의 부문에서는 수혜가 예상되기도 한다.
고령층이 증가하지만 1인 가구 역시 늘어나면서 가족 구성원 수는 줄고 있다. 2020년 인구 조사에서 2인 이하 가구가 57%였고 1인 가구 역시 10년 전인 2010년보다 두 배 이상 증가했다. 이는 보통 선진국에서 관찰되는 인구통계학적 패턴과 일치하지만 중국만의 특징도 포함된 것으로 분석된다. 중국의 높은 독신율에는 높은 교육 수준과 경력 개발에 대한 높은 관심, 개성 중시 풍조로 결혼을 미루는 현상이 반영됐다는 것이다.
인구 축소는 노동력 감소로 이어져 경제 성장도 둔화시킨다. 중국보다 먼저 인구감소 시대로 접어든 일본은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 확대를 통해 고용을 늘렸지만 중국에서는 이 방법이 통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여성 노동시장 참여율이 2022년 기준 이미 61%로 일본보다 높기 때문이다.
이에 중국은 은퇴연령 상향을 통해 돌파구를 마련할 것으로 관측된다. 정년을 연장하면 연금 예산 부족분도 축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