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조경란의얇은소설] 내 인생의 진짜 이야기는

관련이슈 조경란의 얇은소설 , 오피니언 최신

입력 : 2022-04-08 22:53:38 수정 : 2022-04-08 22:53:38
조경란 소설가

인쇄 메일 url 공유 - +

다른 사람을 돕는 사람이 될 때
나의 이야기는 비로소 확장된다

에드위지 당티카, <열기구> (‘안에 있는 모든 것’에 수록, 이윤실 옮김, 문학동네)

수년 전 파리에서 인천공항으로 돌아오는 기내에서 한 청년을 유심히 보게 된 적이 있다. 외모와 언어로만 보면 외국인인 게 분명한데 목에 있는 한 글자의 문신을 보고서였다. 헐렁한 티셔츠를 입은 청년의 한쪽 목에 ‘집’이라는 한글이 크고 비뚜름하게 새겨져 있었다. 그 한 글자에서부터 파생되는 추측과 상상 때문에 이름도 알지 못하는 그 청년에 관한 생각을 지금도 할 때가 있다. 청년에게 집이란 무엇이었을까, 그 한글을 목에다 새겨야 할 어떤 사연이 있었을까. 어쨌거나 그 후부터 누군가의 문신을 보면 이상하게 가슴부터 먹먹해지려고 할 때가 많다. 아름다워서, 너무 슬퍼서, 그 의미를 너무 잘 알 것 같아서.

조경란 소설가

아이티에서 태어나 뉴욕에서 활동하는 작가 에드위지 당티카의 단편소설 <열기구>의 줄거리는 비교적 단순해 보인다. 대학 신입생인 미국인 니아와 아이티 출신의 루시는 룸메이트가 되어 가까워진다. 추수감사절 동안 니아는 루시의 나라 아이티로 단체 봉사활동 여행을 갔다가 돌아와 여성단체 르베에서 상근직으로 일하기 위해 대학을 그만두겠다는 결정을 내린다. 학과장이자 니아의 아버지가 루시를 찾아와 딸을 설득해 달라고 부탁한다. 그 여성단체를 니아에게 소개해준 루시에게도 일부 책임이 있다면서. 소설의 현재 이야기는 루시가 여성단체가 환히 보이는 맞은편 카페에서 니아를 만나는 장면, 그 하루가 거의 전부다. 루시가 봉사활동을 하면서 본 것들, 상처받은 여성과 소녀들 이야기를 할 때, 잠깐 책을 덮고 싶다는 생각이 들지도 모른다. 아니면 눈을 감아버리거나.

니아는 루시에게 말한다. 어느 날 아침 재활센터에서 자다 눈을 떴는데 열린 창문 사이로 물을 가득 채운 두 개의 투명한 물 봉지가 보였다고 했다. 그렇게 하면 들끓는 파리들이 도망간다고 믿는 거주자들이 창문에 걸어둔. 그곳을 떠나면서 니아는 소녀들을 한 명씩 안아주며 잊지 않겠다고 다짐했고, 돌아와서 그 징표로 두 개의 물 봉지를 가슴에 새겼다. “그런데 실력이 떨어지는 사람이 해줘서 물 봉지가 아니라 열기구 두 개처럼” 보인다고. 루시에게도 그런 마음으로 팔목에 새긴 작은 문신이 있다. 니아가 “내가 듣거나 보거나 목격한 이야기에, 특히 비극적인 이야기에 마음이 너무 쉽게” 흔들린다고 고백하자 설득하러 간 루시는 이렇게 진심을 말할 수밖에 없다. “난 네가 다른 사람들을 돕는 애가 될 거라고 생각해.”

그때 두 여성의 목소리는 책장 밖으로까지, 독자의 귀에 고요히 울리는 듯하다. 난 우리가 다른 사람들을 돕는 사람이 될 거라고 생각해.

잠든 니아의 가슴뼈에는 바구니가 달리지 않은 열기구 모양의 동그라미 두 개가 동전만 한 크기로, 아이티 국기를 상징하는 파랑색과 빨강색으로 새겨져 있었다. 그리고 그 밑에는 니아가 좋아한 시인 랭보의 “나는 타자이다”라는 문장이. 니아의 그 징표에 루시가 자신의 손목을 내려놓고 잠시 그렇게 서 있을 때 독자는 알게 된다. “나의 고통과 그녀의 고통이” 서로를 끌어안을 수 있으며 내 인생의 이야기는 나로부터 시작되어도 우리가 타자를 생각할 때 비로소 확장될 수 있다는 작가의 전언을.

 

소설 수업을 열심히 듣던 제자가 첫 시집을 내 어제 만났다. 저녁을 먹다 말고 나는 제자의 오른쪽 손목 안쪽에 보이는 작은 문신의 의미를 망설이다 물었다. 수줍게 웃던 제자와 밤의 거리에서 헤어지며 <열기구>를 읽다가 네 생각이 났다고 말했다. 스물두 살에 제자는 오른손 손목 안쪽에 자판에 있는 엔터키 모양의 화살표를 새겨 넣었다. 키보드를 두드리다 오른손 약지로 그 키를 누르면 다음 줄로, 다음 페이지로 넘어간다. 쓰는 글이, 자신의 인생이 그렇게 다음 장으로 넘어갔으면 하는 바람으로 화살표를 새긴 제자는 이제 시인이 되어 사회적 약자를 위한 연대의 시를 오늘도 쓰고 있을 것이다. 소설과 시. 어떤 문학들은 독자에게 뜨거운 손을 건넨다. 에드위지 당티카에게 큰 영향을 끼친 작가 토니 모리슨의 말처럼 우리가 “최선을 다해 타자를 상상해야” 하는, 바로 그 일에 관해서.


조경란 소설가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앳하트 서현 '여신 미모'
  • 앳하트 서현 '여신 미모'
  • 엄정화 '반가운 인사'
  • 이엘 '완벽한 미모'
  • 조여정 ‘아름다운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