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테슬라 봇’ 깜짝 공개… 자동차기업 로봇개발 경쟁 불 댕기나

입력 : 2021-08-23 20:04:57 수정 : 2021-08-23 20:04:56
조병욱 기자 brightw@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머스크, 지난주 ‘테슬라 AI 날’ 제원 소개
자율주행 기능 탑재 휴머노이드 제작 선언

현대차, 美 기업 인수·투자 ‘분주한 행보’
日 혼다·토요타도 꾸준히 로봇기술 연구

美 일각 “테슬라 봇 의문덩어리” 회의론
국내선 “로봇사업 가속화 부를 것” 전망

자동차 업체들이 미래 기술 확보를 위해 로봇 사업에 뛰어들고 있다. 테슬라가 자사의 기술을 알리기 위해 개최한 ‘테슬라 인공지능(AI)의 날’에서 현재 개발 중인 인공지능 로봇의 제원을 공개하면서 자동차 업계에 ‘로봇’ 개발 경쟁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테슬라는 지난 19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 본사에서 열린 ‘AI데이’에서 휴머노이드(인간형) 로봇인 ‘테슬라 봇 옵티머스’의 시제품을 내년쯤 선보일 것이라고 밝혔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는 “휴머노이드 로봇이 인간만이 할 수 있는 반복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면 인건비를 절감해 세계 경제를 변화시킬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 로봇은 테슬라 자동차가 자율주행에 사용하는 칩과 센서, 시스템을 탑재한다고 설명했다. 높이 1.7m인 테슬라 봇은 사물을 인지해 스스로 움직일 수 있는 오토파일럿 카메라가 탑재되고, 약 20㎏을 운반하고, 약 68㎏을 들어 올릴 수 있으며 시속 8㎞/h로 움직일 수 있다.

테슬라는 그동안 자동차의 반자율주행기능인 오토파일럿을 통해 자율주행에 필요한 많은 데이터를 확보했다. 이제는 이를 바탕으로 인공지능 로봇을 만들겠다고 선언한 셈이다.

자동차 기업의 로봇 개발이 낯선 일은 아니다. 일본의 혼다는 1986년 이족보행 로봇 EO를 발표한 이후 휴머노이드 로봇을 꾸준히 선보였다. 토요타도 로봇 기술 연구와 가정용 로봇 생산을 이어가고 있다. 현대차그룹도 1조원을 들여 미국 로봇기업인 보스턴다이내믹스를 인수했다. 또 올해 초에는 무인 자율주행 탐사 보롯을 만든 로봇 스타트업의 대표주자 ‘클리어패스’에 500만달러(약 57억원)를 투자하기도 했다. 현대차그룹은 이를 통해 관련분야의 세계적인 인력을 확보하고 나아가 자율주행차, 스마트팩토리 등 다양한 모빌리티(이동수단) 관련 기술과의 상승효과도 기대하고 있다.

미국 금융권에서는 테슬라의 이번 발표에 회의적인 시각도 있었다.

외신에 따르면 투자회사 번스타인의 토니 사코나기 애널리스트는 “이번 행사가 테슬라 강세론자에게는 엄청난 매출을 창출할 회사라는 확신을 강화할 것”이라면서도 “우리는 테슬라의 내부 통합이나 초점을 넓히는 데 대해 우려하고 있으며 특히 로봇은 방해 요소로 본다”고 지적했다. 미국 웨드부시 증권사도 “테슬라 봇을 절대적 의문덩어리라고 본다”며 “전기차 경쟁 심화와 안전 문제에 대한 월가의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투자자들을 동요시킬 수 있다”고 했다.

반면 국내 전문가들은 자동차 업체의 로봇 개발이 가속화될 것이라는 전망을 했다.

문용권 신영증권 연구원은 “자동차의 메카트로닉스(기계공학+전자공학) 기술과 자율주행 구현을 위한 인공지능을 접목해 로봇에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테슬라의 로봇 산업 진출은 어느 정도 예상됐다”며 “오토파일럿 기술 고도화에 맞춰 출시가 이뤄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김준성 메리츠증권 연구원도 “테슬라는 단순한 전기차 회사가 아닌 인공지능·하드웨어·소프트웨어·알고리즘을 선도하는 세계 인공지능 리더가 되는 것이 비전”이라고 말했다.


조병욱 기자 brightw@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앳하트 서현 '여신 미모'
  • 앳하트 서현 '여신 미모'
  • 엄정화 '반가운 인사'
  • 이엘 '완벽한 미모'
  • 조여정 ‘아름다운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