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면 응시·AB형 출제는 불가 입장
“대유행 땐 ‘플랜B’도 준비” 여지 남겨
경기교육감, ‘내년 봄 수능’ 가능성 언급도

25일 올해 대학수학능력시험이 100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수능이 예정대로 12월3일에 치러질 수 있을지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정부는 ‘수능 재연기·비대면 불가’ 방침을 고수하면서도 향후 코로나19 감염세에 따라 비상 입시대책인 ‘플랜B’를 가동할 가능성을 내비쳤다.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25일 국회에서 열린 국회 교육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일각에서 제기되는 ‘수능 재연기 가능성’에 대해 선을 그었다. 유 부총리는 “12월3일 수능을 예정대로 추진하는 것을 우선 과제로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당초 11월 19일이었던 2021학년도 수능은 지난 1학기 등교가 수차례 미뤄지면서 2주 연기됐지만, 이후 교육부는 재연기 가능성에 대해 “검토한 바 없다”는 입장을 견지했다.
교육부가 이날 ‘유·초·중·고 원격수업 전환’을 발표하면서도 고3은 전환 대상에서 제외된 것도 ‘수능 연기 불가’와 같은 맥락이다. 수능을 100일 앞둔 시점에서 고3이 등교를 중단하면 입시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유 부총리는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 격상 시 고3 등교수업을 진행하느냐는 질문에도 “고3의 특수성을 감안하겠다”고 말하며 즉답을 피했다.
유 부총리는 수능 시험장에서의 코로나19 확산 방지책으로 거론되는 비대면 응시, A·B형 별도 출제 등에 대해서도 ‘비현실적’이라는 입장을 내비쳤다. 유 부총리는 비대면 응시에 대해 “코로나19 최악의 상황에 대비해 수능 계획을 세우고 있지만 비대면으로 시험을 보는 것은 우리 사회에서 당장 실현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수능은 공정성이 가장 중요한 시험”이라며, 수험생을 절반으로 나눠 수능 문제를 A·B형으로 출제하는 방안에 대해 “현실적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여전히 ‘대유행’이라는 변수는 남아 있다. 유 부총리는 거듭 ‘일정대로’ 방침을 밝히면서도 “감염병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까지 간다면 (수능) 계획을 변경해야 할 수 있다”고 여지를 남겼다. 앞선 기자회견에서는 “여러 가지 상황과 관련해서는 종합적인 판단을 하고, 필요하면 ‘플랜B’도 준비한다”고 말했다. 올해 가을·겨울에 코로나19 감염 사태가 걷잡을 수 없이 커질 경우엔 수능 재연기 등 비상 입시대책을 제시하겠다는 뜻으로 읽힌다.

이재정 경기도교육감은 교육부의 플랜B가 ‘내년 봄 수능’일 가능성을 제기했다. 이 교육감은 이날 라디오 인터뷰에서 “수능을 한 번 더 연기하면 채점 등 기술적인 문제가 있어 어려워진다. 만일 (코로나19) 사태가 나빠진다고 해도 연기할 방안이 없는 것”이라며 “교육부가 어떤 생각을 하는지는 모르겠지만, 선택의 여지라고 한다면 내년 5∼6월에나 볼 수밖에 없는 그런 안을 플랜B로 구상할 수 있지 않을까”라고 추측했다. 이어 ‘3월 학기를 그대로 유지하면 수능을 12월3일보다 늦추는 게 불가능하냐’는 사회자의 질문에 “그렇다”며 수능 연기와 함께 ‘9월 학기제’를 도입할 것을 주장했다.
이동수 기자 ds@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