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직 한국경제학회장들이 경제 부진의 장기화를 우려하며 소득주도성장 정책을 폐기하고 시장 중심 정책으로 대전환할 것을 제언했다.

김경수 성균관대 명예교수는 24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열린 특별좌담회 ‘기로에 선 한국경제, 전 한국경제학회장들에게 묻는다’에서 “2011년부터 한국경제가 2∼3%대로 성장이 둔화하며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이 급격히 하락했는데 이런 추세가 최근 강화되고 있다”며 “생산성을 높이지 않는다면 저성장 추세는 벗어나기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이 개최한 이날 좌담회에는 직전 3개 연도(46∼48대) 학회장이 참석해 현 정부의 경제정책에 쓴소리를 했다. 김 교수는 올해 2월까지 48대 회장을 지냈다.

47대 회장인 구정모 CTBC 비즈니스스쿨 석좌교수는 “반도체 호황에 따른 착시와 정치적 실험, 역량 부족이 현재의 역성장 원인”이라며 “상황이 더 나빠질 수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46대 회장인 조장옥 서강대 명예교수는 “한국경제의 하향화 추세는 적어도 당분간은 막을 수 없다”며 “정책의 대전환이 있더라도 내년 후반기나 돼야 개선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전 학회장들은 올해 한국경제의 리스크로 미·중 무역갈등을 꼽았다. 구 교수는 “최악의 경우 중국으로부터는 ‘제2의 사드 보복’을, 미국에서는 관세부과를 당해 양쪽에서 피해를 볼 가능성도 존재한다”고 밝혔다. 조 교수는 “미국과 중국의 무역분쟁이 대외적으로 가장 큰 현안이지만, 현실과 괴리된 경제 운용이 오히려 더 큰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면서 “법인세 인상과 최저임금 인상, 근로시간 단축이 제조업의 경쟁력을 해치는 상황에서 (정부가) ‘제조업 르네상스’를 내건 것은 정부의 초조함”이라고 지적했다.
좌담회의 사회를 맡은 배상근 전경련 전무는 “기업과 시장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정책의 대전환과 법·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준영 기자 papenique@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