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사설] 위기의 쓰나미 앞에서 머리띠 두르는 자동차 노조

관련이슈 사설

입력 : 2017-07-10 00:05:52 수정 : 2017-07-10 00:05:52

인쇄 메일 url 공유 - +

민주노총 산하 국내 자동차 3사 노조가 모두 파업을 준비하고 있다. 기아차 노조는 지난달 29일, 현대차 노조는 지난 6일 각각 임금·단체협상 결렬을 선언하고 파업 절차를 밟는 중이다. 한국GM도 지난 7일 파업을 결의했다. 자동차 업계가 국내외 판매 부진으로 위기를 맞고 있는데도 노조들은 제 호주머니 채우기에 급급하다. 기아차 노조는 통상임금에 상여금을 포함하되 총액임금은 기존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한다는 회사안을 거부하고 총액임금을 더 높이라고 요구하고 있다. 현대차는 직원 1인당 3000만원이 넘는 성과급·임금 인상을, 한국지엠 노조는 월 기본급 15만4883원 인상과 통상임금(424만여원) 500% 성과급 지급 등을 주장하고 있다.

노조 요구가 터무니없는 억지임은 자동차 생산과 수출 실적을 들여다봐도 단박에 알 수 있다. 올 상반기 생산량은 전년보다 현대차 0.7%, 기아차 3.5%, 한국지엠 4.3%씩 일제히 감소했다. 수출도 4년 연속 내리막길이다. 특히 한국지엠은 작년까지 지난 3년간 누적 순손실 규모가 2조원에 이르고 올해도 적자가 예상된다. 어려운 경영 상황은 아랑곳하지 않고 노조는 해마다 임금 인상을 요구하며 파업 으름장을 놓고 있다.

한국자동차 업계에 쓰나미가 몰려오고 있다. 세계 주요 시장 점유율이 계속 떨어지고 있다. 세계 3대 자동차 시장인 미국·중국·서유럽에서의 점유율 하락세가 뚜렷하다. 특히 사드 보복으로 중국에서의 부진이 눈에 띈다. 자동차 생산량 순위도 5위 자리를 이미 인도에 내주고 6위로 밀려난 상태다. 설상가상으로 최근 일본과 유럽연합(EU)의 경제연대협정(EPA) 타결로 자동차 업계에 비상이 걸렸다. 이런 판국에 현대차는 2000여대의 버스 주문을 받아 놓고도 노조의 증산 거부로 계약이 잇따라 취소당하는 일마저 있었다.

문재인 대통령은 일전에 집무실에 상황판을 걸어놓고 재벌 그룹의 일자리 동향을 기업별로 파악하겠다고 선언했다. 국가 재난 수준의 청년 실업 사태를 감안하면 반가운 소식이긴 하지만 정작 중요한 것이 빠졌다는 지적이 나온다. 자기 이익을 관철하기 위해 생산 활동을 가로막는 자동차노조의 행패야말로 일자리 창출을 저해하는 최악의 적폐가 아닌가. 청와대는 일자리 상황판에 노동 적폐 항목도 마땅히 추가해야 한다. 정부의 일자리 정책이 실효를 거두기 위한 기본 전제조건이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앳하트 서현 '여신 미모'
  • 앳하트 서현 '여신 미모'
  • 엄정화 '반가운 인사'
  • 이엘 '완벽한 미모'
  • 조여정 ‘아름다운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