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증가율 222%… 음악도 30%↑ “캐나다·인도·아랍에미리트에선 ‘뜨고’, 일본·이란·멕시코에선 ‘지고’….”
K-팝·드라마·영화 등 우리나라에서 만들어진 문화 콘텐츠의 해외 진출·확산 현상인 ‘한류’의 현주소다.
![]() |
세계일보 자료사진. |
한류가 말레이시아 베트남 인도네시아 카자흐스탄 태국에선 인기를 끌면서 높은 성장세를 누리고 있지만, 이란 일본 멕시코에선 인기가 사그라든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한류로 인한 문화상품과 각종 소비재 및 관광 분야 총 수출액은 70억3300만달러(8조1125억여원)로 추정됐다. 소비재 및 관광은 4.2% 감소한 반면 문화콘텐츠는 13.4% 증가하며 한류 수출을 주도했다.
코트라(KOTRA)와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은 10일 이 같은 ‘2015년 한류의 경제적 효과에 관한 연구’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한류 덕분에 나타난 문화 콘텐츠 수출 효과는 28억2300만달러(3조2300억여원)으로 추정돼 전년보다 13.4% 늘었다. 분야별로는 게임이 전체 문화 콘텐츠 상품 수출액의 58%로 가장 비중이 컸지만, 수출 증가율에선 영화가 222%를 기록했으며 방송과 음악도 30%를 넘어섰다.

보고서는 또 전 세계 29개국 8130명을 대상으로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한류 인기와 성장 가능성을 조사했다. 그 결과 전년도 조사와 비교해 한류 인기가 상승한 나라는 캐나다, 아랍에미리트, 인도였다.


박성준 기자 alex@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