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탈북자들이 다시 북한으로 돌아가는 사례가 또다시 발생했다. 조선중앙TV와 조선중앙통신 등 북한 매체에 따르면 재입북한 리혁철(26), 김경옥(41), 강경숙(60)의 좌담회가 17일 고려동포회관에서 열렸다.
리씨는 지난달 3일 연평도에서 어선을 훔쳐 타고 북방한계선(NLL)을 넘어 북한으로 간 사실이 국내 언론에 보도됐으며 지난 1월에는 김광호 부부와 딸, 또 다른 탈북 여성 등 4명이 재입북했다.
이날 방송에서 리씨는 함경북도 청진시에 살다가 두리하나선교회의 천기원 목사와 자신의 친형 리상철의 꾀임에 빠져 2007년 2월 탈북했으며 지난달 연평도에서 월북했다고 자신을 소개했다.
당시 연평도는 북한의 도발에 대응해 철통 같은 방위체계를 갖췄다고 했지만 실제 가보니 “썩은 수수울바자를 세워놓은 것보다도 못하게 허술하기 짝이 없었다”다며 NLL을 넘어 월북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느꼈다고 말했다.
리씨는 지난달 3일 오후 10시쯤 속옷과 소지품만 갖고 선원 숙소에서 빠져나와 어선을 훔쳐 타고 월북했다. 그는 재입북 이유에 대해서 “먼저 남한에 정착한 형으로부터 큰 회사를 운영하고 있으며 자가용 승용차를 여러 대 가지고 있다”는 말을 듣고 탈북했으나 실제 가보니 자가용 차는커녕 교회 기숙사에서 겨우 살아가고 있었다”며 “형이 정착금의 50%를 달라고 요구한 데 대해서 혐오감까지 느꼈다”고 털어놨다.
김경옥씨 역시 “돈을 벌기 위해 중국 옌지시로 가 식당에서 일하던 중 2011년 6월 남한으로 갔으며 지난해 12월 북한으로 돌아갔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함경북도 온성군 남로노동자구 14인민반에 살고 있다”며 “박정숙 등 앞서 재입북한 탈북자들이 잘살고 있다는 말을 듣고 지난 3월 재입북했다”고 말했다.
이들 재입북자들은 방송을 통해 탈북자심문 합동센터에서 조사받는 기간 동안 고문을 당하거나 감금당하고 갖은 모욕과 천대, 멸시를 받으며 자살을 기도하기도 했다고 주장했다.
뉴스팀 news@segye.com
사진=연합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