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사상경찰서 수사본부는 이 양의 시신이 발견된 물탱크가 있던 곳에서 5m 떨어진 곳에서 석회가루가 담겨긴 고무통을 발견, 국립 과학수사연구소에 정밀 감식을 의뢰했다고 12일 밝혔다.
경찰은 이 양이 실종된 날로부터 이틀 후인 지난달 26일 오전 10시 49분께 이 양의 시신이 유기됐던 물탱크에서 5m 떨어진 옆집 뒤 처마밑에서 석회가루가 담긴 고무통을 발견했다.
경찰은 발견 당시 이를 사진으로 찍었으며, 지난 6일에도 이 일대를 수색하다 오후 11시10분께 석회가루가 담긴 고무통을 사진으로 찍었다.
경찰은 이후 두 사진을 비교한 결과 사진 찍는 각도에 의해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피사물의 위치와 내용물에 큰 변화가 없는 것을 확인했다.
만약 국과수 감정 결과 이 고무통의 석회가루가 이 양의 시신 위에 뿌려진 석회가루와 동일한 성분으로 밝혀진다면, 김길태가 이 양을 살해한 뒤 이 횟가루를 이용해 이 양의 시신을 은폐했을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또 고무통의 위치 이동이 없는 점으로 미뤄 경찰이 고무통을 발견하기 전에 이 양이 이미 숨져 물탱크 속에 유기됐을 가능성이 높다는 추정이 가능하다.
추정대로라면 이 양은 지난달 26일 오전 10시49분 이전에 살해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경찰 관계자는 "국과수 감정 결과는 다음주께 나올 예정"이라며 "이 두 석회가루의 일치 여부에 따라서 이 양의 사망 시점을 추정하는 중요한 근거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흉악범들이 시신에 석회가루, 가루세제, 밀가루 등을 뿌리는 일이 발생하고 영화의 한 장면으로도 나오기도 한다.
2004∼2006년까지 13명을 살해한 정남규 살인 사건의 피해자 시신 가운데 하나에도 가루세제가 뿌려져 있었고, 영화 '공공의 적'에서도 재산 때문에 부모를 처참하게 살해한 아들이 시신에 흰 가루를 뿌리는 장면이 나온다.
부산경찰청 관계자는 "범인들이 시신을 은폐하고 혹시 시신에 묻었을지 모르는 지문이나 혈흔 등을 없애기 위해 석회가루 등을 사용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실제 증거를 없애는 효과는 없다"고 말했다.
<연합>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