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지수도 평균점수 100에 65점 최하위

연세대 사회발전연구소와 한국방정환재단은 최근 전국 초등 4학년∼고 3학년 543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를 유니세프의 2006년 연구와 비교 분석한 ‘2010 한국 어린이·청소년 행복지수의 국제비교’라는 보고서를 4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삶에 만족하는가’라는 질문에 ‘그렇다’고 응답한 한국 어린이와 청소년 비율은 53.9%로 OECD 26개국 중 가장 낮았다. 가장 높은 네덜란드(94.2%)보다 40.3%포인트, OECD 평균(84.8%)보다 30.9%포인트 낮은 수치다.
‘주관적으로 건강하지 못하다’, ‘소속감을 느끼지 못한다’라고 답한 학생은 각각 26.5%와 18.3%로, OECD 국가 중 가장 높았다. ‘외로움을 느낀다’는 대답도 16.7%로 일본(29.8%)에 이어 두 번째로 많았다.
‘학교생활에 만족하는가’라는 질문에는 ‘그렇다’고 말한 비율이 27.0%로, 노르웨이(38.9%)와 오스트리아(36.1%), 네덜란드(34.4%) 등과 큰 차이 없이 7위에 올랐다. ‘행동과 안전’, ‘교육’, ‘가족과 친구 관계’ 등 영역에서 한국 어린이와 청소년의 만족도는 중상위권이었다.
‘삶 만족도’와 ‘주관적 행복’, ‘학교생활 만족’ 등 6가지 부문을 합산해 점수로 표준화한 ‘주관적 행복’지수는 65.1점(OECD 평균 점수를 100으로 봤을 때)으로 비교 대상 국가 중에서 최하위에 머물렀다.
행복을 위해 인생에서 가장 필요한 것으로 ‘가족’을 꼽은 비율은 고등학교 입학 전에는 우리나라 어린이와 청소년들이 가장 높았다. 고1과 고2 무렵에는 ‘가족’이라고 응답한 학생이 ‘돈’이라 답한 학생 비율과 비슷하거나 조금 앞섰으며, 고 3때 ‘돈’(28%)이란 응답 비율이 가족(22%)을 앞질렀다.
우리나라 학생들이 학업과 관련한 스트레스를 가장 심하게 받고 있었다.
이귀전 기자 frei5922@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