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강종헌 |
제명안은 윤리특위 심의를 거쳐 본회의에서 재적의원(298명) 3분의 2(199명) 이상의 찬성을 얻어야 가결된다. 새누리당 의원 153명 전원이 찬성하고 야당에서 46명의 이탈자가 생겨야 가능한 일이다. 민주당이 신중한 입장이어서 제명안이 실제 처리될 가능성은 높지 않다. 이 의원 제명안이 국회에서 통과되면 1979년 김영삼 당시 신민당 총재가 뉴욕타임스와 기자회견 중 박정희 정권에 대한 미국의 지지 철회를 요구했다는 이유로 의원직에서 제명된 지 34년 만이자 헌정 사상 두 번째가 된다.
제명안 처리와 별도로 정부에 통진당 해산 절차를 요구하는 당내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비례대표 출신인 이 의원이 제명되어도 더 강경한 종북성향 의원이 탄생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물론 “구더기 무서워서 장을 못 담글 수는 없다”(김진태 의원)는 기류가 강하다.
이 의원 제명 시 강종헌 한국문제연구소 대표(비례대표 18번)가 의원직을 승계하도록 돼 있다. 통진당에서 제명된 비례대표 후보 조윤숙 장애인푸른아우성 대표(7번)와 황선 희망정치연구포럼 대표(15번)도 향후 선관위의 등록무효 처분과 관련한 소송 결과에 따라 승계 가능성이 남아 있다.
![]() |
새누리당 김진태, 김태흠 의원(오른쪽부터)이 6일 오후 국회 의안과 관계자에게 통합진보당 이석기 의원 제명을 요구하는 징계안을 제출하고 있다. 남정탁 기자 |
‘색깔론’ 논쟁이 재연될 조짐도 엿보인다. 당내 실버세대위원장인 정해걸 의원은 이 의원 체포동의안 표결에서 반대, 기권, 무효표를 던진 의원을 지목하며 “국회의원의 10%가 넘는 31명이 종북 아니면 간첩”이라고 성토했다.
박세준 기자 3ju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