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원격 근로자로 취업한 는 수천 명의 북한 해커들이 블록버스터 애니메이션 영화 “슈퍼 배드”와 스핀 오프 영화 “미니언즈”의 캐릭터들에 집착한다고 미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2일(현지시각) 보도했다.
북한 해커들이 미니언즈 캐릭터들을 너무 자주 언급해 이들을 추적하는 조사관들이 슈퍼 배드 관련 단서가 나오면 제대로 추적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정도다.

슈퍼 배드와 미니언즈에는 케빈, 스튜어트, 밥, 그루 등의 캐릭터들이 등장한다. 그중 그루는 영리하지만 다정한 슈퍼 빌런으로, 자신을 돕는 미니언들을 보살피면서 다른 악당들과 맞선다.
북한의 위장 취업자들 상당수가 소셜 미디어 프로필과 이메일 주소에 미니언즈 캐릭터를 사용한다.
미 연방수사국(FBI) 수사관들이 처음에는 북한 해커들이 사용하는 그루라는 명칭이 러시아 군정보국(GRU)를 가리키는 것으로 오해했다.
실제로는 북한 해커들이 달을 훔치려는 미니언들의 두목 펠로니어스 그루에 바치는 헌사로 사용한 것이었다.
암호화폐 회사 메타마스크의 테일러 모나한 조사관은 지난해 2개 이상의 암호화폐 회사에 취업한 북한 해커를 추적했다. 해커가 프로그램 공유 사이트 깃허브에 소프트웨어를 올리면서 사용한 아이디가 Grudev325였다.
해커는 취업한 회사의 사장에게 “난 @Felonious Gru ? 슈퍼배드를 사랑한다”라고 밝혔다고 한다. 일을 못해 한 달 만에 해고된 Grudev325가 2년 뒤 암호화폐 회사 먼처블스에서 6200만 달러 이상을 훔쳤다.
모나한은 먼처블스 해킹 사례를 조사하면서 암호 화폐를 훔친 북한 해커들이 미니언을 좋아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피해를 당한 암호화폐 회사가 관리하는 깃허브 페이지마다 “미니언이 나타나 있었다”는 것이다. 깃허브와 텔레그램 프로필, 그에 포함된 아이콘들에서 수십 개의 미니언을 목격했다고 했다.
북한 해커들이 이용하는 비공식 채팅 메시지에 “안녕 미니언”이라는 말로 인사하고 상사를 “그루”로 부르는 표현이 등장한다.
지난해 말 북한 해커들을 추적한 연구자들이 구글 드라이브에서 찾아낸 사진들에 라오스의 한 통신회가가 만든 대형 미니언 전시물 앞에서 찍은 북한 해커 사진이 포함돼 있었다.
북한에서는 애니메이션 영화가 크게 성행한다. “슈퍼 배드”의 제작에도 북한 회사가 하청을 통해 참여하기도 했다.
<뉴시스>뉴시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