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통과 머리 동시 조사
국정원은 이날 이 의원, 조 대표, 통진당 김홍열 경기도당 위원장을 국정원 경기지부와 본원으로 불러 조사했다. 국정원은 그간 광범위하게 확보한 자료를 토대로 이 의원에게 북한과 내통 여부, 압수수색 과정에서 발견된 1억4000만원의 출처 등을 캐물었다. 조 대표를 상대로도 RO의 자금흐름과 북한과 연계성을 따지는 한편 이메일도 압수수색했다. 사회동향연구소는 이 의원이 2005년 차린 CN커뮤니케이션즈(CNC)의 자회사로, RO의 자금줄로 지목되고 있다.
국정원은 또 9일 이영춘 민주노총 고양·파주지부장, 10, 11일에는 통진당의 박민정 중앙당 전 청년위원장과 김근래 경기도당 부위원장 등 다른 ‘몸통’도 소환조사할 방침이다.
6일 오후부터는 검찰도 홍순석(구속) 경기도당 부위원장 등을 국정원에서 송치받아 본격 수사에 들어갔다. 검찰은 이미 대검찰청 정재욱 부부장 검사를 파견받는 등 수사인력을 보강한 상태다.
검찰 수사진은 국정원에서 RO 관계자들의 신병과 수사자료를 넘겨받는 대로 법리 검토와 보강 수사를 통해 공소유지에 만전을 기한다는 입장이다. 검찰 관계자는 “법원이 주된 범죄 혐의에 소명이 있고 제출된 증거의 합법성을 승인한 만큼 기소까지 가는 데 어려움이 없을 것”이라고 자신했다.
◆공안당국 VS 변호인 기싸움 치열
국정원과 이 의원 변호인단의 기싸움도 갈수록 열기를 더하고 있다. 국정원이 이 의원을 상대로 RO 내란모의의 구체적 실행계획을 캐묻자, 이 의원은 “국정원이 대선개입 댓글 의혹을 물타기하기 위해 이번 사건을 조작했다. 수원남부서에서 구치소로 이동할 때 수갑을 채우는 등 인권을 유린당했다”고 주장한 뒤 묵비권을 행사했다. 이런 중에 이 의원 변호인이 바지 주머니에 손을 넣었다 빼는 모습을 본 조사실 밖 국정원 요원이 조사를 중단시키면서 “조사과정을 녹취하고 있는 것 아니냐”라고 따지며 예민한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국정원 역시 이 의원에 대한 조사를 애초 서울 서초구 내곡동 국정원 본부에서 수원의 경기지부로 돌연 변경하면서 변호인단의 심기를 자극했다. 국정원 관계자는 “내란음모 사건은 경기지부 사안이기 때문에 총책인 이 의원 조사도 수원에서 하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현준 기자, 수원=오영탁 기자 hjunpar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