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서울살이 힘든가?”… 서울시민 음주율·우울감 모두 증가 [수민이가 궁금해요]

입력 : 2025-10-07 20:31:50 수정 : 2025-10-07 21:00:20
김기환 기자 kkh@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지난 4년간 서울시민의 음주율과 우울감이 모두 늘었다. 여성은 흡연율이 증가했다.

 

6일 서울시여성가족재단이 최근 발간한 '서울시민의 건강 현황과 성 인지적 건강 정책의 필요' 보고서에 따르면, 서울 여성의 음주율은 2020년 40.3%에서 2024년 45.6%로 5.3%포인트 올랐다.

 

지난 4년간 서울시민의 음주율이 늘었다. 게티이미지뱅크

음주율은 최근 1년 동안 한 달에 1회 이상 술을 마신 적이 있는 사람의 분율이다.

 

남성은 같은 기간 66.5%에서 67.7% 늘어 여성보다 증가 폭이 작았으나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음주자 중 고위험 음주자의 비율도 증가 추세를 보였다. 여성은 2020년 7.1%에서 2024년 8.2%로, 남성은 18.0%에서 19.6%로 모두 상승했다.

 

흡연율의 경우 여성은 2020년 3.0%에서 2024년 3.9%로 소폭 증가했다. 흡연율은 평생 5갑 이상 흡연한 사람으로서 현재 흡연하는 사람의 분율을 의미한다.

 

여전히 남성보다 낮은 수준이나 남성 흡연율이 같은 기간 28.9%에서 26.6%로 감소한 것과 대조적이다.

 

우울감 경험률은 여성과 남성 모두 증가세를 나타냈다.

 

여성은 2018년 6.4%에서 2024년 8.8%로 상승했다. 남성 역시 같은 기간 3.6%에서 6.0%로 높아졌다.

 

평소 일상생활 중 스트레스를 대단히 많이 또는 많이 느끼는 사람의 분율인 스트레스 인지율은 여성과 남성 모두 소폭 줄었다.

 

작년 기준 여성의 스트레스 인지율은 25.0%, 남성은 22.8%로 2018년 각각 26.8%, 26.0%보다 낮아졌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신체활동(운동) 실천율이 높아진 점은 긍정적인 결과로 해석된다.

 

중강도 이상 신체활동 실천율은 여성의 경우 2020년 13.8%에서 2024년 20.3%로 높아졌다. 남성도 23.1%에서 30.4%로 상승했다.

 

걷기 실천율 또한 같은 기간에 여성(49.9%→67.2%)과 남성(56.7%→68.1%) 모두 올랐다.

 

지난해 기준 비만율은 여성 21.0%, 남성 40.0%로 남성이 여성의 배였다.

 

이번 보고서는 질병관리청의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 보고와 원자료 중 서울시응답 자료(연간 약 2만명)를 활용해 분석한 결과다.

 

보고서는 "성별 차이를 고려한 건강위험군 관리가 필요하다"면서 "여성은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과 우울감 조기 개입 체계를, 남성은 흡연·음주 등 건강 위험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오피니언

포토

아이유 '눈부신 미모'
  • 아이유 '눈부신 미모'
  • 수지 '매력적인 눈빛'
  • 아일릿 원희 '반가운 손인사'
  • 미야오 엘라 '시크한 손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