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1년까지 2952억원 투입, 산학협력센터·주상복합 등 조성
천안 최북단 경기도 안성시와 인접한 성환읍 이화시장 일대가 도시재생 혁신지구 국가시범지구 사업 대상으로 선정됐다.
2031년까지 국비 250억원을 비롯해 2952억원 가량의 공공 투자가 진행돼 낙후한 재래시장과 그 주변이 연구개발·창업지원·주거·상업 시설로 변모하는 혁신이 이뤄진다.

인접한 곳에는 대한민국의 새로운 성장 엔진이 될 대규모 첨단모빌리티 국가산업단지로 개발되는 국립 성환종축장(416만9000㎡)이 위치하고 천안 성환읍의 급속한 발전이 가속화 할 전망이다.
천안시는 이곳 성환 혁신지구가 국토교통부의 2025년 도시재생 혁신지구 국가시범지구 사업 대상으로 선정됐다고 5일 밝혔다.
혁신지구 도시재생사업(국가시범지구)은 공공이 주도로 지역 혁신 거점을 조성해 산업·상업·행정·주거 등 다양한 기능이 결합된 복합 인프라를 구축하는 사업이다.
천안시는 성환 이화시장 일대가 과거 천안 북부의 중심 상권이었으나 인구 감소와 고령화·노후화로 침체함에 따라, 공공이 주도하여 생활 인프라를 개선하고 지역 혁신 거점으로 육성하는 전략을 마련했다.
이에 따라 성환 이화시장 일대를 도시재생 혁신지구로 계획하고 2023년 국토부의 국가시범지구 공모에 신청한 결과 후보지로 선정됐다. 올해 상반기 공모에 재신청해 국가시범지구로 최종 선정됐다.
성환 혁신지구가 국가시범지구로 선정됨에 따라 천안시는 국비 최대 250억원과 주택도시보증공사 기금 출·융자 지원, 통합심의 등 행정절차 간소화 등의 특례를 제공받게 된다.
천안시는 주택도시보증공사, 천안도시공사 등과 도시재생리츠(REITs)를 설립하고 성환 이화시장 일대 3만 1209㎡에 2031년까지 총사업비 2952억 원을 투입해 연구개발, 창업지원, 주거, 상업 등의 기능이 집적된 혁신 복합 공간을 조성할 계획이다.
혁신지구 내에는 지역 대학, 연구기관 등과 함께 산학협력센터, 창업지원센터 등을 조성해 스타트업 기업 인큐베이팅, 취창업·근로 지원 등의 기능을 넘어 산·학·연 협력구조로 지역 산업 경제의 선순환 구조를 구축할 계획이다.
지역주민과 신규 유입인구를 위한 주상복합건물과 생활SOC시설을 조성해 주거·복지 및 커뮤니티 기능을 갖춘다.
천안시는 성환 혁신지구 도시재생사업과 함께 성환역 주변 원도심 일대 약 28만㎡에 기반시설 조성과 상권 활성화를 위해 도시재생활성화계획도 수립한다.
김석필 천안시장 권한대행 부시장은 “성환 혁신지구를 미래 모빌리티 국가산단, 북부 BIT일반산단 등 산업단지와 대학, 연구기관과 연계하는 천안 북부 산업의 허브로 구축해 나가겠다”며 “이를 통해 성환 원도심에 활력을 불어넣어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