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해킹 의심 정황 사실을 통보받은 뒤 관련 서버를 파기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KT는 최근 해킹 의심 정황으로 정부조사를 받고 있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인 최민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5일 “KT 해킹 의혹에 대해 확인한 결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으로부터 해킹 의혹 통보를 받은 후 원래 계획을 변경한 뒤 해킹이 이뤄졌을 가능성이 있는 원격상담 시스템 서버를 폐기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말했다.

최 의원이 KISA로부터 받은 자료를 보면 KT는 당초 원격상담 시스템 구형서버 폐기를 지난달 21일 이후로 계획했다. 그러나 KISA가 해킹 의혹 통보하자 기존 계획을 변경해 지난달 1일에 구형서버를 폐기했다는 게 최 의원 측의 설명이다.
다만 KT 측은 "올해 3월 10일 시범 운용을 거쳐 솔루션의 안정성과 기능에 대한 충분한 검증을 완료했다"며 "구독형 서비스로 단순 영상상담 기능만 제공하고 기존 업무 프로세스에 영향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업무 영향도가 낮고 비용 효율성을 고려해 추가 병행 운영 기간이 필요하지 않아 기존 시스템을 지난달 1일 퇴역 처리한 것"이라고 부연했다.
그러나 최 의원은 KT가 KISA의 해킹 의혹 통보 뒤 의도적으로 구형 서버를 폐기했다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이로 인해 KISA는 정밀조사에 난항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 의원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해킹뿐만 아니라 KT의 증거인멸 의혹에 대해서도 철저하게 사실관계를 밝혀야 한다”고 촉구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