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기 내 코스피 5000 달성 ‘불가능’ 50%, ‘가능’ 27%에 그쳐

국민 절반 가까이가 주식 양도소득세 부과 대상인 대주주 기준을 현행 50억원으로 유지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5일 나타났다. 반면 이재명정부의 핵심 공약인 코스피 5000포인트 달성에 대해서는 회의적 시각이 우세했다.

한국갤럽이 지난 2~4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주식 양도소득세 부과 대상과 관련해 ‘종목당 50억원 이상 현행 유지’라고 답한 응답자가 47%로 ‘종목당 10억원 이상으로 기준 변경’(27%)을 크게 앞섰다. 26%는 의견을 유보했다.
특히 실제 주식을 보유한 투자자들의 현행 유지 선호도는 더욱 뚜렷했다. 주식 보유자 중 64%가 50억원 기준 유지를 원했고, 10억원 하향 조정을 지지한 비율은 26%에 그쳤다. 주식을 보유하지 않은 응답자들은 현행과 변경안에 각각 30% 내외로 비슷하게 나뉘었다.

현 정부가 세수 부족 등을 이유로 검토하고 있는 대주주 기준 하향 조정이 증시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40%가 ‘부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고 전망했다. ‘긍정적 영향’이라고 본 응답자는 20%에 불과했다. 주식 보유자들의 부정적 전망은 54%로 더욱 높았다.
이재명정부의 핵심 공약인 코스피 5000포인트 달성 가능성에 대해서는 국민들이 회의적인 시각을 보였다. 이번 정부 임기 내 코스피 5000 달성이 ‘가능하지 않을 것’이라고 답한 응답자가 50%로 ‘가능할 것’(27%)의 거의 두 배에 달했다.

특히 정치적 성향에 따라 코스피 5000 달성 전망이 극명하게 갈렸다. 진보층은 절반 가까이가 달성 가능하다고 봤지만, 중도층과 보수층에서는 10명 중 7명이 불가능하다고 답했다.
투자처 선호도 조사에서는 ‘미국 등 해외 주식’(56%)이 ‘국내 주식’(21%)을 압도했다. 특히 20·30대는 80% 내외가 해외 주식 투자를 더 유리하다고 봤다. 코스피 5000 달성이 가능하다고 본 응답자들조차 유리한 투자처로 국내(45%)와 해외(40%)를 비슷하게 선택했다.
조사 결과 현재 주식을 보유하고 있다고 답한 응답자는 47%였다. 이는 ETF, 펀드 등 간접투자를 포함한 수치로, 생활수준이 높을수록, 30~50대 연령층에서 주식 보유 비율이 높았다.
조사 개요
조사기간: 2025년 9월 2~4일
표본추출: 이동통신 3사 제공 무선전화 가상번호 무작위 추출
응답방식: 전화조사원 인터뷰(CATI)
조사대상: 전국 만 18세 이상 1002명
표본오차: ±3.1%포인트(95% 신뢰수준)
접촉률: 43.3%(전체 투입 유효 번호 대비 통화 연결)
응답률: 12.1%(총통화 8277명 중 1002명 응답 완료)
의뢰처: 한국갤럽 자체 조사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