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서울 아파트 신규 임대차 계약 중 월세가 차지하는 비중이 절반에 접근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18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등록된 서울 아파트 임대차 거래 신규 계약(14일 집계 기준)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달 월세 비중은 48%로, 전년 동월(41%)보다 7%포인트 늘었다. 반면 전세 비중은 같은 기간 59%에서 52%로 줄어들었다.

자치구별로 전세보다 월세 비중이 높은 곳은 동대문구(62%), 강북구(60%), 종로구(59%), 용산구(57%), 금천구(55%), 중랑구(54%), 강남구·중구(각 53%) 등이었다.
직방은 “용산·강남·중구·종로 등 중심권 지역은 직주근접 수요가 밀집된 고가 주거지로 전세금 마련 부담이나 유동성 선호 경향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월세 거래 비중이 높게 나타난 것”이라고 분석했다. 동대문구와 중랑구는 휘경자이디센시아, 리버센SK뷰롯데캐슬 등 신축 아파트를 중심으로 초기 자금 부담이 작용하며 월세 거래가 활발했던 것으로 풀이된다.
보증금 대비 월세 수준을 기준으로 준전세·준월세 등으로 나눈 확장지표의 경우 전세와 유사한 계약 비중(전세+준전세)은 지난해 7월 59%에서 지난달 53%로 1년 새 6%포인트 줄고, 월세와 유사한 계약 비중(월세+준월세)은 같은 기간 41%에서 47%로 늘었다.
직방은 “과거 전세 중심의 임대차 구조가 점차 전세·월세 간 균형에 가까운 구조로 재편되고 있다는 신호”라면서도 “지역별 수급 상황이나 가격대, 주거 선호도에 따라 임대차 시장의 변화 양상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고 진단했다.
정부의 ‘6·27 대출 규제’로 월세화가 더욱 빨라질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직방 관계자는 “6·27 대책 이후에는 전세금 마련이 더욱 까다로워지며 초기 자금 부담이 적은 월세 계약이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면서 “고가 주거지에서는 유동성을 확보하려는 수요가 월세 계약으로 전환되는 사례가 늘고 있으며 자금 여력이 부족한 지역에서는 월세 선호가 구조적으로 심화하는 흐름”이라고 짚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