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송 의원 본인이 재판을 받겠다고 하고 영장실질심사를 받겠다고 하는데 법 때문에 못 받는 난감한 일이 벌어졌다”며 “이것을 해결하려면 헌법을 고쳐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추석 이후 출범할 혁신위원회에서 논의할 과제로 선정하는 방안도 고려하겠다”고 밝혔다. 불체포특권 폐지를 위한 헌법 개정 논의 필요성을 시사한 것이다. 김 대표는 그간 공개석상에서 “방탄국회는 절대 없다”고 공언했으나 송 의원 체포동의안 부결로 결국 ‘뻥’만 친 꼴이 됐다.
검사 출신 박민식 의원도 “1990년대 말 영장실질심사제도가 도입될 때 그 이전부터 존재하던 체포동의안 처리절차와 앞뒤가 맞지 않게 성급히 설계가 됐다”며 “조속한 제도개선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야당 입장도 크게 다르진 않았다. 정의당 심상정 원내대표는 상무위원회의에서 “불체포특권에 대한 근본적 검토와 더불어 선 체포수사를 하고 불체포특권 처리 여부를 사후에 하는 방향으로 법 개정안을 발의하겠다”며 “앞으로 비리 옹호 국회가 반복되지 않도록 제도적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다짐했다.

전문가들은 “국민의 비난 여론에도 아랑곳하지 않는 뻔뻔한 국회”라며 ‘불체포특권 폐지’에 대해 전적으로 동의했다. 연세대 양승함 교수는 “‘특권 내려놓기 하겠다’는 스스로의 말을 배반하고 국민 정서를 배신한 행위”라며 “국회 스스로가 특권을 포기할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 몰고 갔다. 이번에도 유야무야된다면 국회 무용론도 제기될 것”이라고 비판했다. 가상준 단국대 교수는 “방탄국회가 아니라 패륜국회”라고 성토했다.
![]() |
지도부에 ‘X’ 손가락 사인 새누리당 송광호 의원이 3일 국회 본회의에서 자신의 체포동의안이 무기명 표결에서 부결되자 당 지도부를 향해 부결됐다는 손가락 사인을 보내고 있다. 남제현 기자 |
김채연·이도형 기자 why@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