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교육비리도 제도를 바꿔야 한다. 교육계 비리 척결 차원에서 끝나서는 안 된다”며 “제도적 개선이 선결되는 근본적이고 근원적인 방식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대통령은 “3년차엔 도덕적 해이가 만연할 수 있지만, 모두 초심으로 돌아가 새로운 각오와 부단한 개혁의지로 임해 달라”며 “안착하고 매너리즘에 빠져서는 안 된다”고 주문했다.
김은혜 청와대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집권 3년차 첫 국무회의에서 기강해이로 생길 수 있는 각종 비리에 대한 척결 의지를 강조하고 공직사회 기강을 다잡으면서 개혁을 당부한 것”이라며 “게이트 등 3년차 증후군 방지를 위해 깜짝쇼가 아니라 임기 내내 지속 추진하겠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청와대는 교육비리 척결을 위한 제도 개선과 관련해 일선 시·도 교육감의 인사권과 재정권을 크게 줄이는 방안을 추진할 방침이다.
김 대변인은 “교육감의 무소불위 권한을 분산하는 방향으로 부처 차원에서 법적·제도적 보완작업을 벌이고 있다”며 “이른 시일 내 정부 종합대책이 나올 것”이라고 전했다.
홍보라인 관계자는 “교육감의 교장 임명권을 일선 지방교육청이나 학교로 일부 분산할 수 있다”며 “현재 교장공모제 숫자를 전체의 5%에서 10%로 늘릴 수 있다. 법 개정이 필요해 당과 함께해야 한다”고 말했다.
허범구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