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김씨 가문의 대표적인 세도가였던 김좌근은 1853∼1863년 사이 세 번이나 영의정을 지냈지만 흥선대원군이 집권하면서 실록총재관으로 물러나야 했다.
이 건물은 김좌근의 아들 김병기가 1865년(고종 2년)에 지은 것으로 추정되며, 부친의 사후엔 묘지 관리를 겸한 별장용으로 활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좌근 고택은 애초 99칸 기와집이었지만 지금은 담과 행랑채가 사라지고 안채와 별채 등 42칸만이 남아 있는 상태다.
서울대는 예전 기록을 토대로 2003년 경기도 지정문화재 민속자료 12호로 지정된 이 고택을 체계적으로 복원할 계획이다.
이귀전 기자 frei5922@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다카이치 日총리의 급여 반납](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6/128/20251106518657.jpg
)
![[삶과문화] 지금 집이 없는 사람](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6/128/20251106518472.jpg
)
![RM이 말한 ‘K컬처의 힘’ : 다양성의 언어 [이지영의K컬처여행]](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3/128/20251023514662.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