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만명의 사상자와 1000만명의 이산가족을 남겼지만 전쟁 발발 59년이 지나면서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6·25전쟁에 대한 기억이 사라지고 있는 것이다.
행정안전부가 지난 4월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리서치&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19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36.9%가 6·25전쟁 발발 연도를 모른다고 대답했다고 24일 국방부가 밝혔다.
연령대로 보면 20대가 56.6%로 가장 많았고, 30대 28.7%, 40대 23.0%가 6.25전쟁 발발 연도를 모른다고 답했다.
작년 피랍탈북인권연대와 뉴라이트 학술단체가 서울의 초·중·고교 학생 195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도 초등생 35%가 “6·25전쟁을 일으킨 건 한국”이라고 응답해 6·25전쟁에 대한 실상이 제대로 교육되고 있지 않다는 사실을 알린 바 있다.
6·25참전유공자회 박희모 회장은 “6·25전쟁 기념식이 매년 장충체육관에서 열리는데 이를 옥외행사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며 “초·중·고교생과 대학생들도 참여하는 행사로 바꿔 6·25 기념일만큼은 전쟁의 역사를 제대로 알게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같은 현실을 인식한 국방부 산하 ‘6·25전쟁 60주년 기념사업단’은 6·25전쟁 사이버 교육체계 구축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박병진 기자 worldpk@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