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애써 키웠는데…” 80만마리 물고기 바다로 방류한 서해안 어민들 왜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5-08-08 23:00:00 수정 : 2025-08-09 12:50:19
태안·보령=강은선 기자 groove@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한여름 충남 서해안 바다 수온이 높아져 양식 물고기 대량 폐사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천수만 어민들이 물고기 80여만 마리를 바다로 보냈다.  

 

8일 태안군에 따르면 지난달 29일 오전 10시를 기해 고수온주의보가 발령됐다. 태안 해역에서는 105개 어가가 34.8㏊의 양식장을 운영하고 있다. 조피볼락과 숭어가 주 양식품종인데, 총사육량은 2279만마리에 이른다.

지난달 29일 고수온주의보가 발령된 충남 서해 천수만에서 가두리양식장을 운영하는 어민들이 8일 폐사를 막기 위해 조피볼락들을 바다에 풀어주고 있다. 이날 천수만에서는 조피볼락 67만9000마리가 방류됐다. 태안군 제공

태안군 고남면 해역 10개 가두리 양식장 어민들은 이날 전염병에 걸리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 5∼10㎝ 크기의 조피볼락(우럭) 68만700마리를 방류했다. 수온이 조피볼락이 견딜 수 있는 한계인 28도에 다다르기 전 미리 풀어줘 폐사를 막기 위해서다. 

 

방류에 참여한 가두리 양식장에는 새로 어린 물고기를 입식할 수 있도록 1마리당 700원꼴로 최대 5000만원이 지원된다.

 

한 어민은 “정성껏 키워왔던지라 풀어주기까지 고민이 많았지만 이대로 가다가는 지난해처럼 폐사할 것 같아 일단 살리는 것이 우선이라고 판단했다”고 했다. 

 

천수만 내 보령시 오천면 소도 해역 2개 양식장도 이날 조피볼락 15만8800마리를 방류했다.

지난달 29일 고수온주의보가 발령된 충남 서해 천수만에서 가두리양식장을 운영하는 어민들이 8일 폐사를 막기 위해 조피볼락들을 바다에 풀어주고 있다. 이날 천수만에서는 조피볼락 67만9000마리가 방류됐다. 태안군 제공

충남도와 시∙군은 긴급 방류에 따른 어종 보호를 위해 포획금지 기간을 설정하는 한편 2차 방류도 준비할 계획이다.

 

한편 지난해 충남에서는 고수온으로 조피볼락과 전복 등 824만마리가 폐사해 97억3600만원의 역대 최대 피해가 났다.

 

고속온주의보 지속 일수는 2018년 41일, 2019년과 2020년 22일, 2021년 35일, 2022년 62일, 2023년 54일, 지난해 71일 등으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태안·보령=강은선 기자 groove@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하츠투하츠 스텔라 ‘청순 대명사’
  • 하츠투하츠 스텔라 ‘청순 대명사’
  • 윤아 '청순 미모'
  • 최예나 '눈부신 미모'
  • 있지 유나 '반가운 손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