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권리 달라면서 의무는 뒷전" 비판은 왜 등장했을까 [페미 논란]

입력 : 2019-02-28 19:01:58 수정 : 2019-07-03 18:28:59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⑦“‘뷔페미니즘’ 벗어나려면 사회적 공감 얻어야”

 “사병은 싫어요 장교는 좋아요, 경찰공무원 좋아요 현장출동은 못해요, 정치는 재미없어요 비례대표는 할래요, 공대는 싫어요 직장은 원해요….”

언제부터인가 인터넷 기사 댓글들에서 심심찮게 볼 수 있게 된 장문의 글이다. 우리나라 페미니스트들의 행태를 먹고 싶은 것만 골라 먹는 뷔페에 빗대 ‘뷔페미니즘’ 또는 ‘뷔페니즘’이라며 비꼬는 글이다. 뷔페미니즘을 주창하는 이들의 논지는 “여성들, 특히 페미니스트들이 권리를 요구하면서도 의무는 부담하지 않으려 한다”는 것이다. 이런 주장은 왜 나온 걸까.

뷔페미니즘이란 단어가 등장한 건 최근의 일은 아니다. 2016년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사용되기 시작한 이 단어는 이후 페이스북 등 사회관계망서비스(SNS)와 다른 커뮤니티들로 확산했다. 지난해부터 사회 전반적으로 페미니즘을 둘러싼 논란이 거세게 일면서 뷔페미니즘이란 단어의 등장 빈도도 잦아졌다. 관련된 몇몇 이슈들이 이런 상황을 더욱 부채질했다.

 

여경 선발 신체검사 현장에서 지원자들이 무릎을 꿇고 팔굽혀펴기를 하는 모습. 자료사진

◆병역 문제·여경 선발 등서 신랄한 비판

 

대표적인 이슈는 ‘여자도 군대 가라’는 말로 요약되는 병역 문제 관련 논란이다. 27일 청와대 국민청원 및 제안 게시판을 살펴보면 ‘여성징병제’가 포함된 청원이 수백 건에 달한다. 한 청원글 작성자는 “헌법 제2장에는 ‘모든 국민은 국방의 의무를 가진다’고 돼 있다”면서 “여성도 국민이지만 남성과 달리 국방의 의무나 국방세조차도 없는 게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이 같은 주장은 군 가산점 폐지와 더불어 여성들이 장교와 부사관으로는 복무하고 있는 상황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취업준비생 신모(28)씨는 “페미니스트들은 성 차별에 대해 얘기하지만 병역 문제에서 차별을 겪고 있는 건 분명 남성들”이라며 “가뜩이나 취업이 어려운데 2년이라는 시간을, 가산점도 없이 허비해야 하는 게 차별이 아니면 뭐냐”고 되물었다.

 

여경 비율을 늘리겠다는 경찰 방침과 선발 과정의 신체검사에서 여경들은 무릎을 꿇고 팔굽혀펴기를 한다는 점도 비판 대상이다. 각종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여경 대부분이 수사 부서나 현장 근무직이 아닌 사무직으로 근무 중’이라는 지적과 함께 여경을 ‘치안조무사’로 비하하는 표현들이 산재해 있다. 여경이 출동 현장에서 제대로 대처하지 못한 사례들도 나돈다.

 

 

권리와 의무에 대한 일부 여성과 페미니스트들의 이중적 면모를 도식화한 그림. 나무위키

◆관심사만 골라 ‘총공’… “집단이기주의”

 

남녀 직원 숙직 문제 역시 도마에 올랐다. 대다수 지방자치단체에서 남성 직원들만 숙직을 해온 것을 두고 설왕설래가 이어졌다. 여성 공무원 비중이 높아지자 여직원들도 숙직을 하게 하는 지자체가 많아지고 있지만, 일부 지자체에선 여직원들이 금·토·일요일을 내리 쉴 수 있는 목요일에만 숙직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전형적인 뷔페미니즘”이란 말까지 나왔다.

 

이 밖에 남성들 사이에서는 ‘여성들이 힘들고 위험한 일은 하지 않으려 하면서 임금 격차 문제만을 얘기한다’거나 ‘평소 성 평등을 부르짖는 페미니스트들이 결혼 비용 문제 등에서는 입을 싹 닫는다’는 불만도 팽배하다.

 

특히 영영 페미니스트(넷 페미)들이 자신들에게 유리하거나 도움이 될 만한 사안에 대해서만 ‘총공’(총공격)을 퍼부어댄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직장인 이모(33)씨는 “우리나라 페미니스트 가운데 일본군 위안부 문제나 집단 성폭행을 당한 단역배우 자매의 극단적 선택에 관심을 가진 사람이 몇이나 되느냐”며 “여성 인권도 결국은 골라 먹겠다는 것 같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한국 페미니즘이 뷔페미니즘 논란에서 자유로워지려면 사회적 공감을 얻어야 한다고 조언한다. 윤상철 한신대 교수(사회학)는 “어떤 사회 운동이든 사회적 공감을 얻으려면 그 사회의 지배적인 가치를 먼저 수용하고 다른 약자들과 연대해야 하는데, 우리나라 페미니즘은 극단적인 원리주의와 집단이기주의에 사로잡혀 있는 것처럼 보인다”고 지적했다.

김주영 기자 bueno@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천우희 '매력적인 포즈'
  • 천우희 '매력적인 포즈'
  • 수지 '하트 여신'
  • 탕웨이 '순백의 여신'
  • 트리플에스 코토네 '예쁨 폭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