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오늘밤 6년만에 가장 큰 ‘슈퍼문’ 뜬다…“소원 뭐 빌지?”

입력 : 2025-11-05 19:33:45 수정 : 2025-11-05 19:42:54
김수연 기자 sooya@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14% 크고 30% 더 밝아…밤 10시19분 가장 ‘둥글’

5일 밤 6년 만에 가장 큰 보름달이 뜬다. 달이 지구에 가장 가까운 지점을 통과할 때 나타나는 이른바 ‘슈퍼문’ 현상이다.

5일 오후 서울 서초구 잠수교를 걷는 시민 위로 슈퍼문이 떠오르고 있다. 뉴시스

 

이날 한국천문연구원 등에 따르면 올해 가장 작은 보름달(마이크로문)은 4월13일에 떴고, 이날 뜨는 슈퍼문과의 크기 차이는 약 14% 수준이다. 약 30% 더 밝을 것으로 예상된다. 2019년 이후 6년 만에 가장 큰 보름달이다.

 

이날 보름달은 지구와 약 35만7000km 거리에서 관측되며, 지구-달 평균 거리(38만4000km)보다 약 2만7000km가량 가깝다. 서울 기준 월출은 오후 4시58분, 달이 가장 둥근 시점인 ‘망(望)’은 밤 10시19분, 월몰은 다음날 오전 6시24분이다.

 

슈퍼문은 달이 지구를 타원 궤도로 공전하면서 발생한다. 달이 근지점에 도달하는 시점과 보름달이 뜨는 시점이 겹칠 때 달이 유난히 크고 밝게 보인다. 두 주기의 길이가 서로 달라 항상 맞아 떨어지지 않아 슈퍼문은 한 해 3~4회 정도만 관측된다. 지난달부터 계속 이어지고 있는 슈퍼문 현상은 내년 1월까지 4번 연속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슈퍼문은 매년 나타나지만 이처럼 연속으로 발생하는 일은 흔치 않다.

5일 오후 서울 하늘 위로 슈퍼문이 떠오르고 있다. 뉴시스

 

밤사이 대기 정체로 수도권과 충청 지역 미세먼지 농도가 ‘나쁨’ 수준까지 오를 것으로 보이지만, 국립환경과학원은 슈퍼문 관측에는 큰 지장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전국 곳곳 과학관에서는 슈퍼문을 맞아 특별 천문행사를 개최한다. 국립과천과학관은 이날 오후 7시부터 10시까지 특별 관측회를 개최하고, 국립대구과학관은 슈퍼문을 관측·촬영하고 LED 우주선을 활용한 쥐불놀이를 즐길 수 있는 ‘슈퍼문이 돌아왔다’ 프로그램을 연다. 국립광주과학관은 특별 천문 행사 ‘슈퍼문-나잇’을 진행한다.


오피니언

포토

이유미 '반가운 손인사'
  • 이유미 '반가운 손인사'
  • 카리나 완벽 얼굴형에 깜짝…꽃 그림 들고
  • 나나 매혹적인 자태
  • 아이들 미연 '너무 사랑스러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