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전기차 충전하고 남은 전기 팔아 돈도 벌고…제주도, 분산에너지 특구 지정

입력 : 2025-11-05 15:46:45 수정 : 2025-11-05 15:46:44
제주=임성준 기자 jun2580@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전기차 양방향 충전 등 3개 모델 승인
전력 직접 거래·전기요금 별도 설정 가능
2035 탄소중립 가속화

제주도가 정부의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으로 최종 지정됐다. 당초 계획한 세 가지 사업모델이 5일 기후에너지환경부 에너지위원회에서 모두 승인돼 제주형 에너지 자립과 신산업 발전에 전기가 마련됐다.

 

이번에 심의·의결된 제주도의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사업계획은 신산업 활성화 유형으로, 가상발전소(VPP) 기반의 전기차 양방향 충전(V2G), 에너지저장장치(ESS), 새로운 수요혁신 기술(P2X) 등 세 가지 모델을 모두 포함한다.

제주 표선해수욕장 전기차 충전소. 세계일보 자료사진

이번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으로 제주는 2035년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 한 걸음 더 가까워졌다.

 

제주도는 VPP 기반 V2G 모델 36㎿, VPP기반 ESS 모델 60㎿, VPP기반 P2X 모델 57㎿ 추진을 통해 총 153㎿의 유연성 자원을 확보해 전력계통 안정성을 높이고 재생에너지 보급을 확대할 계획이다.

 

특화지역 내 새로운 보상체계도 마련한다. 비선로 증설대안(NWAs), 전력-열 전환(P2H) 전용 요금제, 전력수요 관리(DR) 요금제 등을 도입해 도민들의 분산에너지 참여 여건을 개선하고 새로운 수익 기회를 제공한다.

 

분산에너지 특구 내 분산에너지 사업자는 전력시장을 거치지 않고 사용자에게 직접 전력을 팔 수 있다. 또한 전기요금을 한국전력과 달리 설정할 수도 있다.

 

분산에너지 사업에 참여하는 도민들은 다양한 혜택을 얻게 된다. VPP 등 신성장 사업자와 함께하는 플랫폼을 이용해 스마트한 에너지 사용으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에너지를 생산하고 소비하는 주체(프로슈머)로서 도정 에너지 정책에 적극 참여하는 에너지 민주주의가 실현될 것으로 기대된다.

 

실제, 전기차를 소유한 도민은 낮에 충전했다가 전력수요가 많은 시간에 전력망으로 다시 전기를 공급(V2G)해 수익을 얻을 수 있다. 정보통신기술과 인공지능 기반 시스템을 통해 에너지를 스마트하게 사용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하고 안정적인 전력 공급에도 기여할 전망이다.

 

기업들의 적극적인 투자 유치를 통해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 기대된다.

 

오영훈 지사는 “제주의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확대 지정은 제주형 에너지 민주주의를 실현하기 위해 전 도민이 함께 노력한 결과”라며 “제주도가 에너지 신산업 모델의 국내 확산과 글로벌 시장 진출의 교두보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오피니언

포토

이유미 '반가운 손인사'
  • 이유미 '반가운 손인사'
  • 카리나 완벽 얼굴형에 깜짝…꽃 그림 들고
  • 나나 매혹적인 자태
  • 아이들 미연 '너무 사랑스러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