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정서적 특징 중 하나인 ‘한(恨)’이 응어리져 질병으로 나타나는 ‘화병’의 정신병리적 임상 특징이 과학적으로 규명돼 그동안 문화적·상징적 질환으로만 인식되던 화병을 객관적 임상연구의 틀 안에서 이해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
부산대는 한국 고유의 문화적 배경에서 발생하는 심신질환으로 인식돼 온 ‘화병’의 정신병리적 임상 특징을 규명한 연구 논문이 최근 국제 학술지 ‘바이오피지코소셜 메디슨’ 10월30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고 4일 밝혔다.
해당 논문은 ‘화병 환자의 심신증상에 내재된 보편적인 생물심리 프로파일의 분석’으로, 부산대 한의학전문대학원 채한 교수 연구팀이 경희대 한의과대학 강동한방병원 김종우 교수팀, 경성대 심리학과 이수진 교수팀과 다학제 연구로 진행됐다.
‘화병’은 사회적 순종을 강조하는 전통적인 유교 문화와 한국인의 정서적 특질인 ‘한’이 결합해 형성된 것으로 알려진 질환이다. 장기간 해소되지 못한 스트레스와 감정 억압으로 인해 몸속에 열이 쌓이며, 분노·불면·우울·대인관계 기피 등 정신적 증상과 함께 열감·홍조·두통·가슴 답답함·호흡곤란 등 신체적 증상을 동반한다.
연구팀은 화병 환자 118명을 대상으로 한의학의 음양심리 이론을 표준화한 ‘사상성격검사(SPQ)’를 활용해 심신 증상과 생물심리학적 프로파일을 분석했다. SPQ는 행동 태도(SPQ-B)와 인지 양식(SPQ-C), 정서 반응(SPQ-E) 3가지 하위척도를 측정하는 도구로, 양적 심리는 활성화·자극을 음적 심리는 억제·억압을 의미한다.
연구 결과 화병 환자에게서 높은 SPQ-B(행동적 과민성·충동성)와 낮은 SPQ-C(인지적 경직성·비관주의), 낮은 SPQ-E(정서적 고립·취약성)이라는 특징적 패턴이 확인됐다. 이 같은 프로파일은 화병 환자의 심리 증상 26.0%, 신체 증상 14.3%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낮은 SPQ-C와 SPQ-E가 스트레스의 내면화 및 신체화로 이어지고, 높은 SPQ-B가 간헐적 분노·불안·우울과 같은 전형적 증상을 유발한다.
이번 연구는 한국 고유의 질환으로 알려져 온 화병이 ‘과학적으로 규명된 정신신체질환’이라는 것을 국제적으로 입증했다는 점에서 문화정신의학 및 정신건강 연구 분야에 새로운 학문적 통찰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채한 교수는 “지문처럼 화병만의 독특한 정신병리 프로파일을 발견함으로써 우울증 등 다른 정신질환과 손쉽게 구별할 수 있게 됐다”며 “사상성격검사가 사상 체질의 과학적 임상 진단에도 사용되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정신질환의 효과적인 맞춤형 치료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학폭 대입 탈락](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4/128/20251104518667.jpg
)
![[데스크의 눈] 트럼프와 신라금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08/12/128/20250812517754.jpg
)
![[오늘의 시선] 巨與 독주 멈춰 세운 대통령](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4/128/20251104518655.jpg
)
![[김상미의감성엽서] 시인이 개구리가 무섭다니](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4/128/20251104518643.jpg
)







![[포토] 윈터 '깜찍하게'](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31/300/20251031514546.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