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캄보디아 교민들이 취재를 꺼리는 이유 [현장메모]

관련이슈 현장메모

입력 : 2025-10-19 18:50:25 수정 : 2025-10-19 22:02:03
윤준호 사회부 기자

인쇄 메일 url 공유 - +

캄보디아 한인 교민이 모여 있는 카카오톡 단체 대화방에서 한 인물을 상대로 한 해명 요구가 쇄도했다. 현지에서 취재를 도와준 한 선교사를 겨냥한 것이었다. 언론에 보도된 인터뷰 내용이 화근이 됐다. 교민들은 이 선교사에게 “왜 캄보디아를 범죄 소굴처럼 묘사하냐”며 따져 물었다. 새벽까지 일일이 답장하느라 잠을 이루지 못했다는 이 선교사는 결국 언론 취재 요청에 일절 응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캄보디아 시아누크빌 내 범죄단지로 알려진 건물. 뉴스1

19일(현지시간) 교민들의 불만은 더 커지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재외국민안전대책단이 전날 다녀가면서 단장을 맡은 민주당 김병주 최고위원이 “감금됐던 우리 청년 3명을 구출했다. 세 사람을 구하기 전까지 마치 첩보 영화를 찍는 심정이었다”라며 성과를 발표했는데, 캄보디아를 마치 ‘무법지대’로 보이게 만들었다는 하소연이 여기저기서 나왔다. 한 교민은 “피해자와 범죄자를 구분해 달라는 교민들의 간절한 목소리는 외면한 채, 좋은 그림 하나 만들겠다는 마음으로 ‘영웅 프레임’을 짰다”고 일갈했다.

 

급기야 구출 후 경찰서에서 조사를 받고 있는 한인 청년들 사진이 퍼지면서 누리꾼 사이에서 갑론을박도 벌어지고 있다.

한 청년 양팔에 문신이 있었는데, ‘범죄자’를 ‘피해자’로 둔갑시켜 송환하려 한다는 식이다. 캄보디아 이민 당국에 구금돼 있다가 전세기로 송환된 64명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범죄자들을 데리고 오면 국내 범죄율만 더 오르는 것 아니냐는 비아냥도 나온다.

 

윤준호 사회부 기자

현지에서 취재하며 목격한 상황은 복합적이었다. 속아서 오는 사람도, 많은 돈을 벌겠다며 범죄인 줄 알면서도 오는 사람도 있었다. 그 와중에 캄보디아 정부가 투명하다고 보기도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이곳에서 만난 한 택시기사는 “캄보디아 경찰 중엔 나쁜 사람이 많다. 체포되더라도 돈만 주면 풀려나는 것도 가능하다”고 전했다.

캄보디아 내 한국인을 바라보는 시선의 미묘한 변화가 감지된다. 한국인과 중국인이 와서 문제를 일으키고 있는데, 애꿎은 캄보디아 사람들이 피해를 본다는 것이다. 이러다가 한국인이 캄보디아에서 골칫덩어리가 될지도 모르겠다. 교민들이 취재를 꺼리는 이유다.


오피니언

포토

정소민 완벽 이목구비…단발 찰떡 소화
  • 정소민 완벽 이목구비…단발 찰떡 소화
  • 송혜교, 눈부신 미모에 깜짝
  • 송해나 '심쿵'
  • 투어스 신유 '부드러운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