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이 글로벌 농업 인재를 양성하겠다며 국민 세금으로 해외연수까지 추진했지만, 참여자 중 절반가량이 농업과 무관한 분야에 취업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원택 의원(전북 군산시·김제시·부안군을)이 17일 농진청으로부터 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글로벌 농업인재양성사업으로 해외 연수 이후 취업한 이들 중 49.1%가 비농업 분야를 택했다.

이는 2020년 32.4%에서 5년 연속 악화된 수치로, 사업 목적이었던 ‘농업 전문인력양성’과는 전혀 다른 결과다.
이 의원은 “국민 세금으로 해외 연수까지 지원했지만 절반 가량의 인재가 농업과 무관한 곳에 취업하고 있다”며 “이는 명백한 정책 실패”라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농진청이 이런 실패를 덮기 위해 현실을 왜곡하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이 의원은 농진청이 비농식품 분야 취업을 ‘타 산업과의 융복합을 통한 농업 발전’으로 해명한 데에 대해 “CJ엔터테인먼트나 국제이주기구 취업을 농업 융복합 사례로 포장하는 것은 사업 실패의 본질을 호도하는 것이자 국민을 기만하는 행태”라고 밝혔다.
이 의원은 해당 사업 실패의 근본 원인으로 농업 분야에 대한 비전이 없는 인력 선발과 경험만 쌓게 해준 정책 설계 실패를 꼽으며 “농진청이 내세운 사후관리 강화 대책 역시 구체적 예산이나 실행 예산조차 없는 형식적 대책에 불과하다”고 꼬집었다.
이 의원은 “국민 혈세를 낭비하고 이를 융복합 인재 양성이라는 미명 아래 덮으려는 것은 직무유기이자 예산 낭비”라며 “농진청은 사업 실패에 대한 책임을 명확히 지고, 선발·연수·취업 연계 전 과정을 근본적으로 재설계하는 특단의 대책을 마련할 것”을 촉구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