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단 지적 수용, 재발 방지 집중…106건 부적정
악취, 도로 침하 등 민원 1030건…5년간 市에 접수
내년 지방선거 앞두고 ‘악재’…與野 후보군 움직여
임병택 경기 시흥시장이 결국 고개를 숙였다. 임대형 민자사업(BTL)으로 시공한 하수관로가 부적정하게 시공돼 악취 등 다수의 민원이 발생했다는 민관 공동조사단의 조사 결과 때문이다. 지난 지방선거에서 재선에 성공한 임 시장이 조만간 3선 도전을 선언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하수관로와 관련된 크고 작은 민원들이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을 끌고 있다.
16일 시흥시 등에 따르면 임 시장은 전날 입장문을 통해 “ 하수관로 BTL 사업 조사 결과 106건의 부적정 시공이 확인됐다”며 사과했다.

임 시장은 시의 관리 감독과 점검 등이 미흡했다는 공동조사단의 지적을 언급했다. 이어 “올해 안까지 모든 조치를 마치고, 다시는 같은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대책을 마련하는 데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번게 공개된 부적정 시공 가옥 가운데 조처되지 않은 34곳에 대해선 신속하게 보완 시공하고, 시행·감리사에는 손해배상이나 행정처분을 통해 엄중히 책임을 묻기로 했다.
시흥시는 재발 방지를 위한 근본적인 개선안을 마련해 다음 달 시와 시민단체 합동 브리핑에서 진행 상황과 결과를 공개하기로 했다.
2015 하수관로 BTL 사업은 단독주택과 다세대 주택 등이 밀집한 신천·대야·은행동 일대에 하수관로(40.78㎞)와 배수설비(3557곳)를 정비한 사업이다.
시가 374억원을 투입, 2017년 시작해 2020년 사업을 완료했다. 이어 민간에 운영을 맡겼다. 해당 하수도관은 3개 동 주민 3557가구가 이용하는 데 2020년 5월부터 최근까지 하수 역류 등으로 인한 악취 민원, 연결관 잘못 접합, 맨홀 주변 도로 침하 등 민원 1030건이 시에 접수됐다.

그러자 민관 공동조사단이 지난 6개월간 전수조사를 통해 부적정 시공 사례를 밝히고 14일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전수조사 결과에선 부적정 시공이 106곳(정화조 미폐쇄 19곳, 부실 폐쇄 87곳)으로 확인됐다. 이밖에 오수받이 매립 20건, 주변 침하 8건, 도면 불일치 8건이 드러났다. 준공 서류 중 사진이 누락된 공사는 1394건이었고 정비 일자 오기는 496건이었다. 정화조 폐쇄신청서 누락은 656건으로 확인됐다.
시는 사업 준공 이후 매년 하수관 임대료, 운영비로 35억원을 9개 민간업체가 설립한 특수목적법인(SPC) 시흥에코라인에 지급하고 있다.
한편, 경기 서부권 중심도시인 시흥에선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시장 후보군의 물밑 움직임이 관측되고 있다. 시흥에선 배곧신도시, 서울대 시흥캠퍼스, 시화 MTV 등 굵직한 현안이 추진되지만 주민 민원이 쏟아진 하수관로 사업을 두고 적잖은 불만의 목소리가 나올 것으로 보인다.
현재 이곳에선 더불어민주당 소속인 임 시장과 같은 당 4선 도의원인 김진경 도의회 의장(시흥3), 이동현·안광률·장대석·김종배 도의원의 출마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국민의힘에선 지난 선거에서 낙선한 김윤식 전 시장과 정필재 변호사가 거론된다. 조국혁신당 박춘호 전 시의회 의장, 무소속인 이연수 전 시흥시장, 정재철 전 시의원의 이름도 나온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