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한국인 비만·당뇨병 왜 느나 했더니… 아침에 ‘이것’ 안 먹어서? [수민이가 궁금해요]

입력 : 2025-10-05 10:09:04 수정 : 2025-10-05 11:03:37
김기환 기자 kkh@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대학생 이하늘(20·여)씨는 늘 아침을 거른다. 오전 수업에 과제와 시험까지 겹치면 아침 식사를 챙겨 먹을 시간적 여유가 없다. ‘물만 먹어도 살이 쪄’ 다이어트도 신경써야 한다. 이씨는 “(아침에) 일어나면 등교 준비하기 바뻐 아침밥을 먹지 않는다” 며 “배가 고프면 과자, 빵 등 주전부리로 대충 허기를 달랜다”고 말했다. 

 

이 씨처럼 아침식사를 거르는 한국인이 늘고 있다. 시간이 없어서, 입맛이 없어서, 다이어트를 하느라 아침을 굶는다. 다이어트에 민감한 20대 여성 중엔 3명 중 1명만 아침을 챙겨 먹는다고 한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아침을 반드시 챙겨 먹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아침을 먹지 않으면 우리 몸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기 때문일까. 

게티이미지뱅크

5일 질병관리청의 2024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1세 이상 국민의 아침식사 결식률은 35.3%였다. 3명 중 1명 이상이 아침을 거른 것이다.

 

아침을 먹지 않는 국민의 비율은 2015년 26.2%에서 매년 꾸준히 늘어 10년간 9.1%포인트 상승했다.

 

연령별로 보면 20대에서 아침을 거르는 비율이 62.1%로 가장 높았다.

 

특히 20대 여성은 3분의 2가 넘는 67.5%가 아침을 먹지 않았다. 이어 남녀 통틀어 30대(46.8%), 40대(39.1%), 10대(35.5%), 50대(25.3%) 순으로 아침식사 결식률이 높았다. 아침을 가잘 잘 챙겨 먹는 연령대는 70대 이상으로, 4.9%만 아침을 걸렀다.

 

게티이미지뱅크

국내외에서는 아침을 건너뛰면 비만, 당뇨병 등의 위험이 증가한다는 연구결과가 여러 차례 나온 바 있다.

 

삼성서울병원 연구팀은 지난해 식사 건너뛰기 패턴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아침을 거르는 그룹에서 심장대사질환 위험도가 가장 높고, 이어 점심, 저녁 순이라고 전했다.

 

이 연구에선 아침을 거르는 이들의 총콜레스테롤, 저밀도콜레스테롤(LDL), 중성지방, 공복 혈당, 혈압 수치가 세 끼를 거르지 않는 그룹보다 모두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사증후군은 복부비만, 고혈압, 고혈당, 이상지질혈증 등의 만성질환이 한꺼번에 발생하는 질환이다. 방치할 경우 시간이 지날수록 심뇌혈관질환과 당뇨병 발생 위험을 크게 높여 예방과 조기 치료가 중요하다.


오피니언

포토

아이유 '눈부신 미모'
  • 아이유 '눈부신 미모'
  • 수지 '매력적인 눈빛'
  • 아일릿 원희 '반가운 손인사'
  • 미야오 엘라 '시크한 손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