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49% “관세협상 잘하고 있다”… 41%는 부정평가 [여론조사]

입력 : 2025-10-01 18:55:43 수정 : 2025-10-01 21:30:59
박영준 기자 yjp@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대미 협상·대북 정책

‘李 페이스메이커론’ 48% “성과 있을 것”

한국 정부의 대미 관세 협상이 진통을 겪고 있는 가운데, 우리 국민의 절반 가까이는 정부가 관세 협상을 잘하고 있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반도 평화를 위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북·미 대화 등을 주도하며 ‘피스메이커’ 역할을 맡고, 이재명 대통령과 한국 정부는 이를 지원하는 ‘페이스메이커’를 역할을 하는 대북 전략 구상에 대해서도 국민 절반은 성과를 기대하는 모습이었다.

사진=AFP연합뉴스

세계일보가 한국갤럽과 함께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현 정부가 미국과 관세 협상을 잘하고 있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매우 잘하고 있다’는 응답은 19%, ‘잘하고 있다’는 응답은 30%로 집계됐다. 긍정평가 49%로 미국의 관세 인상 압박과 대미 투자 압박이 거센 상황에서 우리 정부가 상대적으로 미국의 공세를 차단하고 있다는 인식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관세 협상을 ‘잘못하고 있다’는 응답은 14%, ‘매우 잘못하고 있다’는 응답은 27%로 부정평가는 41%였다.

한·미는 지난 7월 말 관세 협상에서 미국이 한국에 부과하기로 한 25%의 상호관세를 15%로 낮추는 대신 한국이 총 3500억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를 진행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하지만 후속 협상 과정에서 미국은 3500억달러 대미 투자를 현금투자 방식으로 요구하고 있고, 한국 정부는 대출이나 보증 등의 방식을 주장하며 대치하고 있다. 한국 정부는 리스크 해소를 위해 미국에 한·미 통화스와프 체결을 요청했으나 접점을 찾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미 투자에 따른 수익을 배분하는 문제와 관련해서도 한·미 간 이견이 작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대통령이 지난 8월 한·미 정상회담에서 북한 문제 해결을 위해 제시한 ‘피스메이커’, ‘페이스메이커’ 역할론에 대해서는 일정 부분 국민의 기대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북한이 한국과의 대화를 포함한 관계 개선에 선을 긋고 있는 만큼, 과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정상회담 등을 통해 친분을 쌓아왔던 트럼프 대통령이 북·미 회담 등을 주도하고 한국은 그 흐름에 보조해 평화 분위기를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여론조사에서 이 대통령의 평화 구상이 유효한 성과를 끌어낼 수 있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18%는 ‘매우 그렇다’고, 30%는 ‘그렇다’고 응답해 긍정평가가 48%로 나타났다. ‘그렇지 않다’는 응답은 21%, ‘매우 그렇지 않다’는 응답도 21%로 전체 부정평가는 42%였다.

 

이번 조사는 9월29일부터 30일까지 이틀 동안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10명을 대상으로 무선 전화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 응답률은 9.9%다. 더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오피니언

포토

아이유 '눈부신 미모'
  • 아이유 '눈부신 미모'
  • 수지 '매력적인 눈빛'
  • 아일릿 원희 '반가운 손인사'
  • 미야오 엘라 '시크한 손하트'